뉴스
"저자"(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2016.06.18
- 혁명을 겪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베스트 셀러 ‘제2의 기계 시대’(The Second Machine Age)의 저자인 에릭 브린욜프슨과 앤드루 맥아피의 경우, 그 책에서 슈퍼스타 이코노미의 시대가 가져올 자본주의의 실패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로 기본소득을 제시했을 정도다. 물론 기본소득이 ... ...
- 프로바이오틱스는 돈낭비다?과학동아 l2016.06.17
- 알려진 살아있는 균으로, 국내외에서 음료와 캡슐 등으로 판매되고 있다. 논문 제1저자인 낫자 크리스텐센 연구원은 영국 일간지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체계적인 검토 결과,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이 건강한 성인의 대변 미생물에 일관된 영향을 준다는 확실한 증거는 발견할 수 없었다”고 ... ...
-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16.06.15
- 발병률이 8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세먼지가 암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 공동저자인 홍콩대 탁 툰궉 연구원은 “미세먼지는 DNA 복구 기능을 손상시키고 면역 반응을 망가뜨리며, 그 결과, 새로운 혈관의 성장이 촉진돼 종양이 쉽게 퍼지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기간 미세먼지에 ... ...
- 수명 다한 태양전지, 간단히 씻어서 재활용한다2016.06.14
- 또 전극에 사용했던 금도 용매 속에 가라앉아 수거가 가능했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김병조 성균관대 신소재공학과 연구원은 “용액 처리 후 수초 이내에 투명한 기판이 드러났다”며 “극성 비양자성 용매가 페로브스카이트 광 흡수층의 뼈대를 형성하는 납과 잘 결합하기 때문”이라고 ...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2016.06.13
-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유연한 투명전극이 개발됐다.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팀과 알렉산더 야린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고분자 나노섬유에 구리를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흡수하는 가축에서 얻는 육류는 물론 비닐에 싸여 있는 치즈도 피했다. 그 결과 3일 동안 저자의 몸무게가 1.5킬로그램이나 줄었다! 과연 이런 생활을 30일, 300일 동안 지속할 수 있을까? 최근 가습기살균제 문제가 재조명되면서 일상생활에서 합성화합물이 포함된 제품을 쓰지 않으려는 사람들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소설을 갖고 와 생물학자들을 폄훼한데 대해 스타인벡의 소설로 응수한 것이다(저자가 맛이 갔다고(sour)). ‘생명과학’과 ‘생태학’ 10판(각각 2012년과 2014년 9판이 나왔다)을 만들 때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해 다윈의 나방 이야기를 소개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체 관찰하는 ‘메타렌즈’2016.06.05
- 나노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까지 작은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오재원 캐나다 워털루대 연구원은 “메타렌즈는 콤팩트한 평면 렌즈로 기존 렌즈를 뛰어 넘는 성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상현실(VR) 기기 등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활용 가능성이 ... ...
- 한 성격하는 상어? 저 상어는 어떤 성격일까?2016.06.04
- 각각 뚜렷하고 일관된 모습으로 개성 있는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이 논문의 주요 저자인 에반 번즈는 “지난 수십 년 동안, 200종에 가까운 동물들이 각각의 개성을 가졌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고 말하며 “개성은 더 이상 사람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하며 변화해 온 ... ...
-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2016.05.30
- 개양귀비 꽃잎의 색소분포에 대해 말이 없다. 아쉬운 마음에 논문의 주저자이자 교신저자인 캐스퍼 반 데르 쿠이(Casper van der Kooi) 박사에게 문의를 했다. 필자 생각에 울타리콩처럼 양쪽 표피층에 분포할 것 같다고 언급하면서. 현재 스위스 로잔대에 있는 반 데르 쿠이 박사는 바로 답신을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