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피아노 건반 기준으로 ‘도’ 음의 바로 다음 검은 건반은 2의12/1배의 진동수를, 그 다음 흰 건반은 2의12/2배로 조율하는 방식이지요. 최고의 하모니는 순정율평균율에는 무리수 개념이 이용되니, 무리수 개념이 없던 기원전 6세기에 생각지 못했겠지요. 지금처럼 다양한 악기도 없었을 테고요 ... ...
- 숫자로 보는 2018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11%(169골 중 19골)가 막판에 들어간 건데요, 역대 월드컵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로 그다음 기록인 2014 브라질 월드컵의 5.9%를 훌쩍 뛰어넘는 신기록입니다. 이중 6골은 추가시간에 터진 결승골입니다. 팬들의 입장에선 정말 희비가 엇갈리는 순간이 아닐 수 없었겠죠? 그만큼 승부의 세계에선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리해보자. 역량은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신이 한 활동이 어떤 역량을 강조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이 과정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한 소재를 고를 때 이정표 역할을 한다. ➌ 각 문항별 평가 역량에 가장 적합한 소재 ...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이러스의 공격에서 에디를 구해 주세요.”다이애나가 이야기를 마친 뒤 다음 방으로 무대를 옮기자, 축구공 크기의 털북숭이 로봇 5대가 등장했어요. 이 연극의 또 다른 주인공, ‘에디’였답니다. 에디는 천장에 달린 CCTV로 어린이들이 쓴 헬멧의 색을 인식해서 관객을 구분할 수 있답니다. ... ...
- 제한시간 안에 막힌 방에서 탈출하라! 수학자 저택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째깍째깍”. 시간이 흐르는 소리가 좁은 방을 감돌았다. 수학 수수께끼를 좋아하는 사람을 초청한다는 기묘한 초대장을 받은 우리는 지금 낯선 방에 갇혀있다. ... 소리가 났다. 자욱한 안개 사이로 저택이 희미해졌다. 아마 수학자 저택은 안개 속에서 또 다음 손님이 오길 기다릴 것이다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더 맛있어지게 했죠. 그러자 벌의 경로가 달라졌습니다. 가장 달콤한 꽃을 먼저 방문한 다음 다른 꽃으로 옮겨가기 시작한 겁니다. 이때, 벌은 단순히 보상이 가장 높은 꽃을 무조건 먼저 방문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화 경로를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날아가는 데 드는 에너지보다 얻을 수 있는 ... ...
- [영재교육원 탐방 7] 이화·서대문영재교육센터 , 숨어있는 다양한 가능성 찾는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바란다. 그래서 같은 영역은 재입학이 불가능하지만 다른 영역에 지원하면 얼마든지 다음 해에 재입학이 가능하다. 한 반에서만 오래 배우기보단 여러 경험을 쌓으면서 학생이 진짜 자신에게 맞는 재능을 찾을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초등학생 때 다른 과목보다 과학을 더 잘한다고 과학에 가장 ...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잡은 것”이라고 말했다. 4. 비브리오패혈증 | 치사율 40~50%로 높아 해수욕장에 다녀온 다음 날, 배탈과 함께 으슬으슬 떨리고 열까지 난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치사율이 절반 가까이에 이르는 비브리오패혈증에 걸렸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비브리오패혈증은 바닷물에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가장 발전한 인공근육 소재보다 강도가 10배나 강하고, 연성도 나일론, 폴리아미드 다음으로 뛰어나다. 원래 부피의 6배까지 늘어났다가도 멀쩡하게 회복된다(임신부의 배가 늘어나는 상황을 상상해보라!).따라서 피부를 대신할 전자피부도 기본적으로는 강하고 유연해야 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런 특이성은 무엇에 의해서 결정될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산과 염기를 다음과 같이 이온화 해보자. 산은 물에 녹아 수소 이온(H+)과 음이온(A-)으로 나뉜다. 수소 이온(H+)에 의해서 산의 공통적인 성질이 나타나고, 각각의 산이 가진 서로 다른 음이온에 의해 다양한 성질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