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찾은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링겔 역시 같은 불만을 표시했던 것 같습니다. 링겔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제기했거든요. 만약 원형 테이블이 m개가 있고 각각의 테이블에 a1, a2, …, am명이 앉는다고 합시다. 참석자가 총 n명이라면 a1+a2+…+am=n이어야 합니다. 이때 참석자 중에서 두 사람을 뽑는 ...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하면 세포의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에는 이웃 세포 8개가 있습니다. 이 8개를 기준으로 다음 세대(단계)로 넘어갈 때, 오른쪽과 같은 규칙에 따라 세포의 생사가 결정됩니다. 인공생명은 미국 컴퓨터 과학자 크리스토퍼 랭턴에 의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랭턴은 세계 최초로 단순한 몇 ... ...
- 콧대 높은 여왕들의 신경전, n-퀸즈 게임과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따지려면 총 64C8=4,426,165,368개를 따져야 합니다. 그래서 먼저 놓인 퀸이 속한 행과 열에 다음 퀸을 놓을 수 없다는 규칙에 따라 경우의 수를 줄입니다. 물론 대각선에도 놓을 수 없지만, 행과 열만 생각해도 많이 줄일 수 있어요. 체스판이 총 8개 열로 이뤄져 있으므로 첫 번째 칸에서 한 칸을 고르고, ... ...
- [Culture] ‘승리 요정’ 되려면 강속구로 승부하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펼친다. 따라서 첫 번째 승부에서 타자를 제압한 방법은 이미 타자에게 수를 읽힌 만큼 다음 번 승부는 다른 작전을 구사하곤 한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다양한 변화구다. 강속구와 변화구 모두에 능하다면 더할 나위없겠지만, 둘 중 한 가지 무기만 가진다면 팀의 승리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최초로 밝혀내면서 과불화화합물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켰다. 또 PFOS와,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PFOA는 갑상선호르몬을 교란시켜 어릴 때는 세포분화와 발달,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그 중에서도 신경세포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경우 지능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정리해보자. 역량은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신이 한 활동이 어떤 역량을 강조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이 과정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한 소재를 고를 때 이정표 역할을 한다. ➌ 각 문항별 평가 역량에 가장 적합한 소재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뇌터 강연자’로 선정해 기조강연하게 합니다.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기조강연은 시상식 다음으로 인기 있는 행사인데요, 앞서 이야기한 힐베르트와 스메일도 기조강연에서 20세기와 21세기에 풀어야 할 중요한 문제를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기조강연은 분야를 막론하고 수학자라면 누구나 알아야 ... ...
- 숫자로 보는 2018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11%(169골 중 19골)가 막판에 들어간 건데요, 역대 월드컵을 통틀어 가장 높은 수치로 그다음 기록인 2014 브라질 월드컵의 5.9%를 훌쩍 뛰어넘는 신기록입니다. 이중 6골은 추가시간에 터진 결승골입니다. 팬들의 입장에선 정말 희비가 엇갈리는 순간이 아닐 수 없었겠죠? 그만큼 승부의 세계에선 ... ...
- [Culture] 밥 먹을 때는 개도 안 건드려야 한다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가능하다. 방법은 이렇다. 먼저 가장 맛이 없는(가치가 낮은) 먹이를 밥그릇에 준다. 그런 다음 으르렁거리지 않을 만큼의 거리까지 걸어가서 맛있는 간식을 던져주고 돌아온다. 그리고 거리를 점점 좁혀간다. 이후 강아지가 가진 밥그릇에 조금씩 더 맛있는 것을 주면서, 이 행동을 반복한다.이런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8] 인류의 역사를 바꾼 화학반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런 특이성은 무엇에 의해서 결정될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대표적인 산과 염기를 다음과 같이 이온화 해보자. 산은 물에 녹아 수소 이온(H+)과 음이온(A-)으로 나뉜다. 수소 이온(H+)에 의해서 산의 공통적인 성질이 나타나고, 각각의 산이 가진 서로 다른 음이온에 의해 다양한 성질이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