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d라이브러리
"
재료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바꾼
재료
? 미래를 바꿀
재료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재료
들이 함께
재료
나라를 이끌어간다면 정말 최고가 될것 같아요! 앞으로 우리 미래
재료
들이 나라를 잘 이끌어 가는지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세요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26일 천안함 타격에 쓰인 것인지를 입증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여기에는 X선 분석이라는
재료
분석 방법이 사용됐다. 물질은 저마다 고유한 파장과 에너지가 나오고 X선을 쏘면 특정한 각도로 튀어나가는 성질이 있다. 서로 다른 곳에서 발견된 두 물질에 X선을 쐈을 때 튀어나오는 각도가 일치하면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조절 작용을 하는 물질도 있지 않을까 궁금해졌습니다.”이 교수의 연구팀은 여러 식
재료
를 연구한 결과 2007년과 2009년 각각 계피와 브로콜리의 항염증, 항암작용을 알아냈다. 계피에 포함된 계피알데히드는 톨유사수용체가 염증을 만들라는 신호를 방해해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브로콜리에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인체 해부실을 방문할 때마다 과연 연구원들이 ‘불과 얼마 전까지 살아 있었던 실습
재료
’를 어떻게 대하는지 관찰했다. 다행히 현재 의대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원이 그들을 ‘인간적으로’ 대우하고 있었다. 저자는 인체 해부실습을 하기 전에 자신이나 가족의 몸을 의학용으로 기증한 이들에게 ... ...
집짓기 속에 숨겨진 기하학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기억하나요?기쁨 : 튼튼한 강철로 만든 것 같은데 구조도 중요한 건가요?선생님 : 어쩌면
재료
보다 구조가 더 중요할 수도 있어요. 크레인에 쓰이는 트러스구조는 처음에 삼각형 모양으로 발명되었답니다. 여기 나무젓가락을 이용해 만든 삼각형과 사각형이 있어요. 각각의 이음매는 못으로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닭볶음탕을 만드는 방법이 나온다. 비장과 위의 기가 약할 때 누런 수탉에 고추장을 주
재료
로 넣어 잘 삶으라는 내용이다.결국 조선시대 임금이 고추로 만든 요리는 맵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먹지 않았다는 이야기는 전혀 근거가 없다. 권 박사는 ‘지봉유설’에 나온 고추가 외래품종인 남만초이며,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나노응용시스템연구센터에서 소장을 맡고 있다. 이곳에서는 나노전기공학, 나노화학
재료
공학, 나노생명과학의 첨단 연구를 진행 중이다.“이제 회로선폭이 30nm(나노미터, 1nm= 10-9m)인 반도체가 등장하며‘30나노시대’가 왔습니다. 반도체는 회로 선폭이 좁아질수록 처리 속도가 더 빠르죠. 나노과학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분에 600m, 초고속 엘리베이터의 비밀그렇군. 시멘트라면 피라미드를 만들 때 썼던
재료
라 나도 잘 알고 있지. 그런데 내가 없는 사이 콘크리트라는 것을 만들었군. 게다가 초고강도라니 정말 놀라운걸! 그나저나…, 그 높은 건물 안에서 오르락내리락하던 물체는 뭐지? 그것도 여기 어디 있지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NRL)의 과학자들은 물속에서 음파를 만드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음파
재료
는 다름 아닌 레이저광이다. 전자기파인 빛(레이저광)이 어떻게 음파로 바뀔까. 강한 출력의 펄스 레이저광을 소량의 물에 쏴주면 물이 마치 렌즈처럼 작용해 레이저광을 집광시킨다. 그러면 과열된 레이저광을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교수를 비롯한 한국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하기도 했다. 그는 “김성훈 교수가 만든 실험
재료
(리보솜과 결합하는 단백질)를 갖고 연구한 적이 있다”며 “지금도 김 교수와 e메일을 주고받으며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나트 박사는 2005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지에 자신이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