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료
소재
성분
요소
자재
원재료
제재
d라이브러리
"
재료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 나무에 달린 ‘카카오 빈’으로 불리는 열매의 씨가 바로 초콜릿을 만드는 핵심
재료
이다. 카카오 빈을 발효시키고 말리는 과정에서 초콜릿만의 달콤하며 쌉싸래한 맛을 갖게 되는 것이다. 초콜릿을 얼마나 만들 수 있느냐는 전적으로 카카오 빈이 그해 얼마나 수확되느냐에 달려 있다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점이 개선됐다. 전분과 아크릴로니트릴을 결합한 고흡수성 고분자는 천연
재료
와 합성
재료
를 혼합한 형태로서 자연 분해가 빠르므로 친환경적이다.그렇다면 고흡수성 고분자는 왜 물을 흡수할까? 그 이유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분자 내부에 물과 친한 카르복시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열을 흡수한 뒤 우주선 밖으로 빠져 나가는 ‘TPS’라고 하는
재료
를 씌워 줘야 해요. 이
재료
는 귀환 로켓 전체 무게의 40%, 우주왕복선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답니다.열을 견디거나 조절하는 기술은 스크램제트 등 다른엔진을 연구할 때에도 중요해요. 그래서 최고의 속도를 내기 위한 연구는 ... ...
3. 차이가 만드는 요리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맛있는 전을 부칠 때 달걀과 함께 꼭 필요한
재료
는 부침가루다. 부침가루가 없으면 온갖
재료
가 전이 아닌 구이처럼돼 버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뽀얀 동태살을 부침가루 없이 달걀을 푼 물에 담그면 달걀이 잘 묻지 않는다. 동태살의 표면이 매끄러워 달걀이 줄줄 흘러내리고 만다. 이 상태로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식당을 만들 수도 없고, 일반인들이 취사를 하면 쓰레기를 남기기 때문이죠.”변변한
재료
도 없이 만든 음식이지만 어찌나 맛있는지 고무라 씨의 솜씨가 요리사 뺨치게 좋다. 고무라 씨도 가이드가 되기 위해 요리를 배웠다고 하는데, 이리오모테 섬의 에코투어 가이드들은 그 외에도 서식하는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일품이라 고급요리의
재료
로 쓴다. 아가미와 창자로는 젓갈을 담그며 뼈는 갈아서 죽의
재료
로 이용하거나 푹 고아 깊은 맛을 내기도 한다. 간은 그대로 익혀 먹거나 기름(간유)을 뽑아 의학용으로 쓰는데, 대구의 간유에는 비타민 A와 D가 많이 들어 있다. 대구 껍질을 이용한 요리도 다양하다.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연구실은 여전히 새로운 도전을 멈추지 않는다.“우리 연구실은 분자를 넘어 초분자
재료
를 향해 계속해서 도전해 왔습니다. 스스로에 대한 도전이기도 했죠. 처음 목표는 세계적인 연구실이 되자는 것이었는데, 이제는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실이 되는 게 목표입니다. 우리 연구원들이 해외에서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할 수 없다고요! 2009년 신종플루가 전세계를 휩쓸었을 때는 붓순나무에서 타미플루의
재료
를 얻어서 사람들을 구했어요. 죽어가는 암환자를 주목나무에서 얻은 택솔로 살리기도 했지요. 이처럼 그 동안 우리가 썼던 치료제 중에는 동식물에서 얻은 것이 많았어요. 아마존 같이 숲이 지금까지 온전히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넓어 양념이 쉽게 배어든다.열을 많이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조리도 빨리 된다.
재료
자체의 맛이나 향을 우러나오게 하는 데도 유리하다.도넛에 구멍이 난 이유 북한에는 ‘가락지빵’이란 말이 있다. 무엇을 가리키는 말일까? 가락지라면 손가락에 낄 수 있도록 동그란 구멍이 난 물건을 ... ...
‘녹색’ 수소 만드는 인공 잎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작용을 모방해 수소를 생산하는 인공 잎이 개발됐다. 중국 상하이 지아오통대 금속복합
재료
연구소 통지앙 팬 박사팀은 녹색 식물의 잎 구조를 본떠 수소를 추출하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영국에서 발행되는 과학 잡지 ‘뉴사이언티스트’ 1월 9일자 인터넷판에 소개했다.연구진은 쌍떡잎식물의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