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00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성 금 화합물 먹고 순금 알갱이 내놓는 '박테리아 연금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작은 생물 반응기 6개를 만들고 여기에 박테리아와 현무암을 담았다. 현무암은 달과 화성
표면
을 덮고 있는 레골리스와 가장 유사하다. ISS에 도착한 생물 반응기는 원심분리기에서 다양한 속도로 회전하는 시험을 거쳤다. 코켈 교수는 “박테리아가 지구보다 중력이 작은 달이나 화성에서도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 “배터리·시계·자동차·통신 등 모든 일본 산업이 달로 향하고 있다”
2020.11.12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스페이스는 이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먼저 달 착륙선과 달
표면
을 탐사할 무인로봇(로버)를 개발하고 있다. 아이스페이스가 개발하고 있는 착륙선은 30kg, 로버는 5kg으로 초소형이다. 하카마다 대표는 로버를 활용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자원의 구체적 위치를 확인한 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
2020.11.12
마침내 지구 이외의 천체에 처음으로 발을 디디기도 했다. '아폴로 미션' 수행 중 달
표면
에서 채취한 토양 샘플을 들고 있는 우주인의 모습. NASA 제공 이처럼 20세기의 과학은 자연의 가장 작은 스케일인 원자 이하의 세상에서부터 가장 큰 스케일인 우주에 이르기까지 인간지성을 확장해 왔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황금 동전 실험의 화재 예방
2020.11.11
가열하면, 아연이 구리 격자 속으로 확산되면서 아연의 비율이 35% 이하로 줄어들면서
표면
에 있던 감마 황동이 황금색의 ‘알파(α) 황동’으로 변하게 된다. 황금색으로 변한 동전을 다시 아연산 이온이 녹아있는 수용액에 넣으면 아연의 환원 반응이 다시 시작되어서 동전은 다시 은색으로 바뀌게 ... ...
손가락 터치로 홀로그램 구현...미래 디스플레이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외부 자극에 반응해 광학적 특성을 쉽게 바꿀 수 있는 액정을 메타물질에 접목했다. 메타
표면
에 특별하게 고안된 액정 기반 광변조기를 결합시켜 액정 셀의 재료와 디자인에 따라 손가락 터치나 전압, 열과 같은 다양한 외부 자극에 반응하도록 한 것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장치가 다양한 외부 ... ...
목성 위성 '유로파', 태양 빛 반사하는 달과 달리 자체 발광
연합뉴스
l
2020.11.10
NASA/JPL-Caltech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유추해낸 이런 결과가 유로파
표면
에서도 실제 이뤄지고 있다면 NASA가 2020년대 중반에 발사할 탐사선 '유로파 클리퍼'가 이를 포착할 수 있다고 했다. 유로파 클리퍼는 목성 궤도를 돌면서 유로파에 45차례 이상 2천700~25㎞까지 접근하며 근접 ... ...
사막 공기에서 물을 뽑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11.10
에 물이 흡착된다. 낮이 되면 이 물은 태양열에 의해 수증기의 형태로 증발해 응축기③
표면
에 다시 물로 응축한다. Joule 제공 태양이 작열하는 황량한 사막에서 공기만으로 물을 얻을 수 있는 날이 머지 않았다. 에벌린 왕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기계공학과 교수와 김현호 당시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곳에 전달하는 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여기에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재료를 결합해 인체
표면
에 부착하거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소자를 만들기도 하고, 전자제품의 성능을 극적으로 바꿀 수 있는 부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 기술은 밀폐된 공간의 열을 다른 곳으로 전달하는 복사냉각장치, ... ...
"코에 스프레이 뿌려 코로나19 예방 가능"
연합뉴스
l
2020.11.09
콜레스테롤 입자인 특정 '리포펩타이드'다. 이 리포펩타이드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
에 돋아나 있는 단백질 스파이크의 성분과 일치한다. 단백질 스파이크는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침투시키기 위해 인체에 달라붙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유전물질 ... ...
이산화탄소 자원화 ‘걸림돌’ 해결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보이는 새로운 촉매 소재로 구리수산화물 나노와이어를 제시했다. 구리수산화물 촉매
표면
에 일산화탄소가 흡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리가 존재하며 이중 특정자리에 흡착한 일산화탄소가 빠르게 탄소-탄소 결합의 중간체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탄소-탄소 결합 반응은 고부가가치 화합물을 ... ...
이전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