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인체 침투 제2의 경로 밝혔다...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실마리'
2020.10.23
포개는 형태와 비슷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
표면
의 두 단백질과 모두 결합하면 훨씬 감염력이 강해지는 것을 확인했다. 반대로 세포 실험에서 면역단백질인 항체를 투여해 바이러스의 스파이크보다 먼저 뉴로필린-1과 결합시켰더니 코로나 바이러스의 ... ...
OLED 해상도 한계, '메타
표면
' 거울로 뛰어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넣으면 해상도는 높아지지만 밝기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필터 대신 메타
표면
거울을 설치해 밝기는 색상 필터보다 두 배 밝고 인치당 화소 수(PPI)는 1만 개 이상으로 늘렸다. 눈에 가까운 디스플레이일수록 PPI가 높아야 유리하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이 600PPI 정도면 가상현실(VR) ... ...
[코로나19 연구속보] 유전자 추적 '바코드'가 코로나19 전파와 진화 신속하게 찾아낸다
2020.10.22
이를 식별해 표식을 붙일 방법을 개발했다. 과학자들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표면
단백질 중 하나인 ‘스파이크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가운데 일부에서 변이가 발생하면서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변이 발생 추이를 추적하고 있다. 전 세계 코로나19 ... ...
재료硏, 효율 대폭 끌어올린 고체전해질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수준인 6% 이상으로 끌어올린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재료연구소는 송명관
표면
기술연구본부 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안철진 창원대 생물화학융합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광전효율을 대폭 높인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 ...
일차 섬모 손상된 생쥐 모델에서 심한 비만 나타나
연합뉴스
l
2020.10.22
존재하는 특정 신경세포 'SF-1'이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이 신경세포
표면
에 유난히 긴 일차 섬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이 이 신경세포에서만 일차 섬모가 만들어지지 않는 결손 생쥐모델을 만든 뒤 관찰한 결과, 생쥐에게서 심한 비만이 나타났다. 대사 분석 결과 ... ...
질병청 백신 관련성 제기된 '아나필락시스'란 어떤 증상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적게 만들어지며 주로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한다. IgE는 ‘비만세포’라는 면역세포
표면
에 붙어 있는데, 알레르기 유발 물질(알레르겐)이 들어오면 신경전달물질의 일종인 히스타민을 분비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아나필락시스는 이 같은 알레르기 반응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쇼크와 비슷한 ... ...
[오늘의 뉴스픽] 꿈조차 꾸기 어려운 국감 현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돌던 시내버스보다도 작은 탐사선 ‘오시리스-렉스’가 베누에 3.4m 거리까지 근접해
표면
자갈과 모래를 들어 올리는 데 성공한 것입니다. 오시리스-렉스는 베누에 약 10초간 팔을 쭉 뻗어 샘플을 채취했는데 이 모습은 18분30초 시차를 두고 지구로 생중계됐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오시리스 ... ...
'오시리스-렉스' 3억km 밖 소행성 베누 '터치다운' 표본 채취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사막으로 낙하할 예정이다. 로리 글레이즈 NASA 행성과학부문 이사는 “우리가 베누의
표면
을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건드렸다는 사실은 태양계 비밀을 계속 밝혀내고 있는 탐험의 살아있는 정신에 대한 증거”라고 말했다 ... ...
[영상]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베누 암석 샘플 채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토양 및 자갈 샘플 등을 수집한 뒤 곧바로 이륙했다. 5초 동안 질소 가스를
표면
에 쏘아 튀어오르는 자갈을 채집하고 다시 물러나는 ‘터치 앤 고(Touch And Go)’ 방식이다. 신호를 보내는 데 최대 18분이 걸리는 먼 거리기 때문에 오시리스-렉스는 이번 임무를 모두 자동으로 수행한다. ■ ... ...
가장 짧은 시간 측정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광자는 수소 분자에서 전자 2개를 차례로 튕겨낸다. 마치 연못
표면
에 조약돌을 던지면
표면
에서 차례로 튕겨나가는 모습과 유사하다. 이 과정에서 생기는 입자 간 상호작용은 간섭 패턴으로 불리는 파동을 만들어낸다. 도너 교수 연구팀은 ‘COLTRIMS 반응 현미경’이라는 장비를 이용해 이 과정을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