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뜻이야. 몸은 말, 머리는 사슴, 발은 코끼리, 꼬리는 멧돼지를 닮았고, 이마 한가운데에 길이 45㎝ 정도의 뿔이 나 있대. 이 뿔은 적을 만나면 칼처럼 자유롭게 움직여 갑옷이나 방패를 뚫어버리고, 해독 능력이 뛰어나 뿔을 물에 담그기만 해도 바다와 호수가 깨끗해진다고 하지.하늘을 나는 말에는 ... ...
- [현장취재➋] 수학동아 레고카페, 레고와 수학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알아낸 뒤, 책상의 길이를 재서 비례식으로 회전 각도를 찾아내는 것이다. 하지만 책상의 길이를 잴 수 없었던 일부 독자들은 회전각도를 임의로 설정해서 바퀴가 굴러가도록 했다. 그리고 절벽에서 떨어지는 마인드스톰을 받아서 추가로 몇 바퀴가 더 돌아가는지를 확인하고, 그만큼 회전각도를 ... ...
- 물컹물컹 움직이는 신기한 유리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담았다가 쩌~억하고 금이 생긴 경험이 있나요? 금이 가는 이유는 물질의 온도가 올라가면 길이와 부피가 늘어나고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줄어드는 열팽창 현상 때문이죠. 그런데 유리는 열을 빠르게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이 닿은 유리컵 안쪽만 늘어나고 바깥쪽은 그대로 있어 그 차이에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알고리즘은 그 미디어 회사에서 생산한 기사 수나 직원 수, 사람들의 의견, 기사의 평균 길이와 단어 수, 기사에 문법적 실수와 오타가 많은지 등을 체크해 기사를 평가한다. 그리고 평가 결과를 점수로 매겨 기사의 순위를 정하고 구글 뉴스 페이지에서의 비중을 결정한다. 마치 편집장과 같은 ... ...
- 블랙홀의 매력에 푸욱~, 빠져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결과로 미스터리로 가득한 저희 블랙홀의 구조나 생태에 대해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해요.음…, 어쨌든 난 어떻게 탈출하면 돼? 집에 가고 싶어~!블랙홀의 중력을 이길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빠른 속도로 날아가면 돼요. 문제는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보다 더 빨리 날아야 한다는 ... ...
- 또 하나의 여행, 공항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안 보면 큰일 나요. 탑승 시간을 계산해서 움직이세요. 인천공항의 면세점 구역 가로 길이는 무려 1㎞가 넘는답니다. 나중에 뛸 자신이 없다면 탑승게이트가 있는 곳 부근에서 미리 대기하는 게 좋겠죠?인천공항의 탑승게이트는 여객터미널에 50개, 탑승동에 30개가 있어요. 여객터미널은 인천공항 ...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이루지 않기 때문에, 약간이라도 긴 쪽으로 힘이 걸리며 철사가 계속 돌게 된다. 철사의 길이가 짧을수록 바람개비가 잘 돈다.4 자석에 이런 비밀이?재성이와 규빈이가 바람개비를 돌리며 신 나게 놀고 있는 중에 얼른 재미있는 걸 가르쳐 줄게. 자기력과 전기력이 같다는 사실을 이용하면 자석으로 ... ...
- 컴퓨터 속에서 공룡이 ‘쿵쿵쿵’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걸음걸이를 재현했답니다. 아르젠티노사우루스는 몸길이가 40m나 되고 몸무게도 80톤 정도 나가는 거대한 4족 보행 공룡이에요. 데스크탑 컴퓨터가 3만 대나 필요할 정도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교한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결과, 아르젠티노사우르스가 이동하는 ... ...
- 개성 짱! 동물들이 모인 LOST VALLEY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장다리에게 간식을 줄 시간이에요. 그런데 기린의 혀는 신기하게도 보라색을 띠고 길이도 50㎝가 넘어요. 식빵을 본 기린은 코를 벌름거리며 다가와요. 혀로 내 손을 핥으면서 먹이를 가져가지요.로스트밸리의 톱스타! 말하는 코끼리 코식이올해 스물세 살인 코식이는 평소 사육사가 자주 사용하는 ... ...
- 어린이 과학자가 밝혀낸 회암사지 ‘ㅌ’자 구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열로 따뜻한 겨울나기우리 조상들이 사용하던 구들은 대부분 아궁이가 하나이고 길이 여러 갈래로 난 ‘다로식’ 구들이었어요. 가운데 아궁이에서 나온 열기가 굴뚝 방향으로 흐르면서 온돌을 따뜻하게 데우는 구조랍니다. 그런데 회암사지터에서 발견한 ‘순환식’ 구들은 아궁이 두 개에서 나온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