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무엇이든 잘 먹는 수달, 생태계의 VIP로 뽑히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렇군요. 수달 외에 또 누가 생태계의 VIP로 뽑혔나요?왜가리나 검은제비갈매기, 최대 몸 길이가 150㎝까지 자라는 바다 물고기인 풀잉어 등 대부분이 최상위 포식자들이에요. 왜가리 같은 경우에는 물고기를 비롯해서 개구리, 뱀, 들쥐, 작은 새까지 굉장히 여러 가지를 먹는답니다.음식을 가리지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라는 방법을 써서 은하 사이에 숨어 있는 표준자를 찾는 것이다. 표준자는 이미 길이를 알고 있는 대상으로 관측점에서 양쪽 끝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그곳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우주의 구조가 열쇠그러나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암흑에너지와 수정중력 ... ...
- 수학 공식? 그림 한 장이면 OK!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넓이는 얼마일까?정사각형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3과 4인 직각삼각형 4개와,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 1개의 넓이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3×4)×1/2×4+1=25=5²가 되어, 피타고라스의 정리인 3²+4²=5²를 만족한다. 직관을 중요하게 여긴 이름 모를 동양의 수학자는 어떠한 수식이 없이 한 장의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141), 두 가지가 있다. 이제 두 번째 문제에 도전해보자. 문제에서 구하라는 것은 경로의 길이가 3인 행렬이므로, A3 을 구하면 된다. 답은 아래와 같다. 수학적 속기술로 풀어낸 먹이그물 행렬은 전기 회로망, 도로망, 생산 공정의 연결선 같은 공학 분야에 많이 쓰인다. 행렬은 현실 세계의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같은 실험을 통해서 미리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단순히 지구에서 보이는 이 표준자의 길이만 알면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게 된다.또 하나는 우주배경복사를 이용해 은하단의 밀도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우주배경복사의 광자가 중간에 은하단의 뜨거운 가스를 만나면 에너지가 상승한다. 그러면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당시 기술로는 직류를 고압으로 만들 수 없었다는 점이다. 엄청난 송전 손실을 막을 길이 없었다. 에디슨은 직류를 110V로 배달할 때 가장 효율적이고 사용할 때도 적당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하지만 한번 110V로 만든 직류 전기는 전압을 쉽게 바꿀 수 없었다. 대신 전선을 굵게 만들면 되지만, 전선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시작했다. 사실 그 불평은 탄식이었고, 탄약의 수는 그들에게 남아있는 생명의 길이였다. 어린 소년 가브로쉬는 상황을 견디다 못해 바리케이드를 넘어 조금 전까지 총탄이 오가던 중간지대로 나섰다. 그리고 죽은 자들이 하늘로 가져가지 못한 탄약을, 금속과 화약으로 이루어진 생명의 조각을 주워 ... ...
- PART 2. 생리의학상 - 신속 정확 세포 택배회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때문에 이들의 업적을 통해 질병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고 치료제까지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사람과 같은 다세포 생명체는 세포 간의 상호소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호르몬과 성장인자에 의한 생리현상, 면역세포의 인체방어기전 등은 모두 세포에서 분비된 물질에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버틸 수가 없겠지요.다행히도 과학자들은 우주쓰레기의 위험을 충분히 알고 있습니다. 길이가 10cm 넘는 우주쓰레기 1만 8000개를 광학망원경과 레이더를 통해 추적하고 있고, 위성이나 우주정거장이 위험할 시 미리 대피하라고 지시합니다.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이미 10여 차례 회피 기동을 한 적이 ...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사실 이 곡의 원곡은 20분 20초에 불과해요. 하지만 수학적 기술을 활용해 원곡을 1000년의 길이로 확장했어요. 우선 원곡을 6개로 복제한 뒤, 특정한 규칙에 따라 곡에 변주를 만들어냈어요. 그리고는 6개의 음악을 동시에 재생해서 1000년 간 음악이 반복되지 않고 연주되게 만들었지요.아까 원곡이 2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