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근시가 덜 발생한다고 했지요.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햇빛을 받을 때 눈에서 안구 길이를 조절하는 물질이 나와서 근시를 예방할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특집 한 걸음 더 시력 지키는 여섯 가지 방법아직까지 근시를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어. 안타깝지만 말이야. 그러니까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나무에서 10m이상 떨어진 곳에 서 있어야 안전하다.번개 치면 우산이 피뢰침?우산처럼 길이가 긴 물체는 피뢰침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하늘로 높게 들고 있으면 위험하다. 번개가 치면 비를 맞더라도 우산을 접고 걸어가는 게 안전하다.바닥으로 웅크리자!들판처럼 주위에 높은 것이 없는 장소에 ... ...
- 아빠, 절대 반칙운전하지 마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조종으로 띄워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밝혀내고 경찰에 고발할 계획이에요.무인 비행선은 길이 12m, 무게 50㎏ 크기로 고속도로 위 30~50m 높이에 떠 있을 예정이지요. 360° 회전하는 3630만 화소 카메라를 실어 차량 번호판까지 알아보는 것은 물론, 양방향을 동시에 관찰할 수도 있답니다. 단, 속도가 ...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나와서 비를 막아 준단다. 우산 살이 없어서 우산이 뒤집어지거나 망가질 염려도 없겠지? 길이를 짧게 조절하면 가지고 다니기도 무척 간편할 것 같아. 아직은 상상 속의 우산일 뿐이지만 빨리 들고 다니고 싶당! 음매애~!또롱또롱~, 빗방울로 빛나는 우산비가 오면 어두워지고 앞이 잘 보이지 않아.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3D프린터의 한 종류인 고체 방식과 같아, 3D프린터를 펜 모양으로 만든 셈이죠.3D펜은 길이 18㎝, 무게 200g으로 두꺼운 편으로 어린이가 잡기에는 다소 큰 편이지만, 어른은 한 손으로 잡고 자유롭게 허공에 그림을 그리듯 물체를 만들 수 있어요. 9월에 판매될 3두들러는 예술가나 공예가의 도움을 받아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박고 사는 모낭진드기이름: 모낭진드기(절지동물 거미류)사는 곳: 사람의 모낭겉모습: 몸길이 0.3~0.4㎜로 길쭉한 모양 주둥이가 짧고 4쌍의 다리는 퇴화되어 짧고 뭉툭함.먹이: 모낭 속 피지, 노폐물관련 질병: 여드름, 탈모 등피부 속에 터널 뚫는 옴진드기이름: 옴진드기(절지동물 거미류)사는 곳: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이라는 방법을 써서 은하 사이에 숨어 있는 표준자를 찾는 것이다. 표준자는 이미 길이를 알고 있는 대상으로 관측점에서 양쪽 끝을 잇는 직선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면 그곳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다. 우주의 구조가 열쇠그러나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아직 암흑에너지와 수정중력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시작했다. 사실 그 불평은 탄식이었고, 탄약의 수는 그들에게 남아있는 생명의 길이였다. 어린 소년 가브로쉬는 상황을 견디다 못해 바리케이드를 넘어 조금 전까지 총탄이 오가던 중간지대로 나섰다. 그리고 죽은 자들이 하늘로 가져가지 못한 탄약을, 금속과 화약으로 이루어진 생명의 조각을 주워 ... ...
- Part 2_ 보이지 않는 68%의 수수께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같은 실험을 통해서 미리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단순히 지구에서 보이는 이 표준자의 길이만 알면 은하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게 된다.또 하나는 우주배경복사를 이용해 은하단의 밀도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우주배경복사의 광자가 중간에 은하단의 뜨거운 가스를 만나면 에너지가 상승한다. 그러면 ... ...
- [Knowledge] 독수리 먹이는 몇 종류일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141), 두 가지가 있다. 이제 두 번째 문제에 도전해보자. 문제에서 구하라는 것은 경로의 길이가 3인 행렬이므로, A3 을 구하면 된다. 답은 아래와 같다. 수학적 속기술로 풀어낸 먹이그물 행렬은 전기 회로망, 도로망, 생산 공정의 연결선 같은 공학 분야에 많이 쓰인다. 행렬은 현실 세계의 ... ...
이전1711721731741751761771781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