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12.29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지능시스템연구소가 개발한 정자형 로봇. 마이크로
미터
단위이며 꼬리를 움직이며 헤엄친다. - 막스플랑크연구회 제공 크기가 수십~수백 배 더 큰 ‘마이크로로봇’은 나노로봇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한 곳에서 쓰인다. 합성 물질로 나선이나 고깔 모양을 만든 뒤 정자 ... ...
소금으로 배터리 개발… “리튬 고갈 염려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6
공간을 열처리를 통해 탄소로 채웠다. 이 방법으로 주석황화물 복합체의 크기를 2nm(나노
미터
, 1nm는 10억분의 1m)의 초미세 입자로 가공하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복합체는 1g 당 1시간 동안 1230mA(밀리암페아)의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초기용량을 가졌다. 현재 ... ...
상어를 바다로 돌려보낸 액티브 시니어
팝뉴스
l
2017.12.25
된 풀에 갇혔으니 빠져 나가도록 도와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종류가 확인되지 않은 1
미터
크기의 상어는 운이 좋았다. 측은지심이 강한 사람을 만나 다시 바다로 되돌아 갈 수 있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7.12.22
- NIAID, MD헬스케어 제공 나노 소포체는 세포의 외막에서 분비되는 20~2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작은 물질로, 세포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크기가 아주 작은데다가 세포막 성분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장간막을 통과할 수 있어 혈액과 소변에도 나노 소포체가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병든 세포 실시간 추적으로 암 조기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세포가 밝고 선명하게 보이도록 해 주는 물질이다. 나노입자 조영제는 보통 1∼2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인 나노입자 내부에 조영제가 담겨 있는 구조다. 표면에는 암세포, 줄기세포, 대식세포 등 표적 세포나 이와 연관된 효소, 이온, 산성도(pH) 등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부위가 있어 ... ...
35억년 전 생명 탄생 증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2
것임을 주장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02년 레이저 분광기법으로 화석을 수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단위로 분석한 뒤 미생물 화석이 맞다고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밝힌 바 있다. 논란은 같은 날 쇼프 교수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는 연구가 네이처에 함께 발표되면서 시작됐다. 마틴 ... ...
6
미터
비단뱀이 길을 막아
팝뉴스
l
2017.12.20
길고 큰 뱀이다. 사진은 호주 퀸즐랜드 경찰이 11일 페이스북에 공개한 것이다. 6
미터
가 넘는 길이의 뱀이 길을 가로막고 있었다. 경찰들은 뱀이 스스로 숲으로 들어갈 때까지 기다렸다. 억지로 개입하면 위험한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사진은 페이스북에 공개된 후 급속히 ... ...
다가가면 깨어날 듯한 공포의 상어
팝뉴스
l
2017.12.19
노력은 무위로 돌아갔다. 해변으로 밀려왔을 때 이미 상어는 숨을 거둔 상태였다. 3
미터
에 달하는 거대한 상어가 뭍에 올라오는 일은 드물다. 캐나다 CBC 뉴스 등은 상어의 사망 원인을 당국이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 ...
[동영상] 물 속에서 더 잘 붙는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9
물에 젖을수록 접착력이 더 강해지는 특징을 가진다. 연구팀은 하이드로겔로 마이크로
미터
(㎛‧1㎛는 100만 분의 1m) 크기 미세 구조를 만들었다. 압정처럼 넓적한 머리에 얇은 기둥을 가진 미세 구조물은 지퍼처럼 서로 맞물리며 접착력을 만든다. 특히 이 구조를 만드는데 이용한 주 재료인 ... ...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7.12.19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크기가 1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인 아주 작은 플라스틱 입자를 말한다. 합성섬유 조각과 타이어 마모 입자 등 일상 생활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빗물에 씻겨 호수나 강 등 담수 생태계로 이동한다. 해양 생태계에 미세 ... ...
이전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