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를 털실 삼아' 스웨터 뜨듯 만든 DNA 나노 평면 구조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12.18
-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규칙적인 패턴으로 구부리고 엮어서 대각선 길이가 약 100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인 정교한 마름모꼴 모양의 평면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하고, 그 결과를 과학잡지 ‘사이언스’ 15일자에 발표했다. DNA 오리가미로 만든 가장 큰 구조물인 마름모꼴. 기존의 가장 큰 ... ...
- 해수욕장에 나타난 거대 상어팝뉴스 l2017.12.14
- 11일자 보도하는 등 해외 언론들이 집중 주목한 스토리다. 호주 남부의 바다에서 6미터 길이의 상어 모습이 촬영되었다. 이 거대한 백상아리는 호주 퀸즐랜드 트와일라이트만의 해변에서 50미터 떨어진 곳 나타났다. 수영객들에게 인기가 많은 해변 가까이에 등장했던 것이다. 옆에 있는 ... ...
- 배터리 없이 전기뱀장어처럼 전기 일으킨다동아사이언스 l2017.12.14
- 다른 농도의 소금물을 인쇄한 발전 패드. 물방울 하나의 높이는 10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수준이다. 고농도 소금물(빨간색)과 저농도 소금물(파란색) 사이의 양이온 친화 겔(초록색)과 음이온 친화 겔(노란색)을 통해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이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전하의 흐름 ... ...
- 징그럽다 vs 귀엽다 팝뉴스 l2017.12.13
- 최근 공개한 짧은 영상 중 일부이다. ‘검은색 물 도마뱀’이라고 한다. 길이가 2.4미터라는 설명이다. 이 무서운 도마뱀은 강아지나 고양이처럼 사람에게 꼭 안겨 있다. 사람을 무척 좋아하고 온순하다는 설명이지만, 그래도 감히 애완동물로는 기를 자신이 없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다수이다. ... ...
- 암세포 보호막 뚫는 항암 나노물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12.11
- 세포외기질을 분해할 수 있는 인체 유래 효소인 PH20을, 주머니 모양을 하고 있는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 밖 기관 ‘엑소좀’에 결합시킨 형태다. PH20 효소와 엑소좀 모두 인체 내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PH20 효소는 정자가 난자에 들어갈 때 세포막 표면을 뚫는 단백질이다. ... ...
-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12.07
-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파랑비늘돔의 이빨이 강력한 이유가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법랑질 섬유로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방사광가속기 ‘ALS(Advanced Light Source)’를 이용해 이빨의 구조를 X선으로 분석했다. 치아의 기저부에는 지름이 평균 ... ...
- 가장 높은 호수에서 결혼사진 촬영해팝뉴스 l2017.12.07
- 반지를 나누고 부부가 되었다”고 그녀는 적어 놓았다. 틸리초 호수는 해발 4900미터가 넘는 세계 최고의 호수. 파란 하늘과 눈 덮인 산 그리고 맑은 호수는 완벽한 배경이 아닐 수 없다. 건강하고 독특한 결혼식 사진과 영상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로 떠올랐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 상어 물고 가는 범고래 ‘화제’ 팝뉴스 l2017.12.06
- 놀라운 장면이다. 영상 속에서 희생된 상어는 세븐길 상어이며 길이는 1.8미터 가량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촬영 장소는 미국 캘리포니아 인근이고, 드론을 이용해 포착했다. 수 개월 전의 영상이지만 충격적이라 최근 네티즌 사이에서 다시 주목을 받으며 화제가 되고 있다. ※ 편집자주 ... ...
- 급속 충전, 방전 반복해도 끄떡없는 새로운 배터리 소재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12.05
- 방해해 성능이 금방 떨어지는 약점이 있었다. 오 책임연구원팀은 이 재료에 1~2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두께의 표면층을 코팅해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코팅한 표면층은 이온을 잘 전달하는 지르코늄으로 돼 있어, 리튬 이온이 잘 움직이도록 도와 전기 저장 성능을 지속시킨다. 연구팀은 이렇게 ... ...
- “역사상 가장 큰 곰” 깜짝팝뉴스 l2017.12.03
- 11,000년 전까지 북아메리카를 어슬렁거리며 사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두 발로 서면 4.2미터 높이가 되었을 것이라는 과학자들의 추정. 최대 2톤까지 무게가 나갔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본다. 현재의 회색 곰은 200kg까지 자란다. 악토테리움이 얼마나 거대했을지 짐작하게 하는 수치다. 사슴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