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동전으로 2파운드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안 쓰거나죠. 쓰지 않는다면 나머지 동전 종류로 똑같은 금액을 만드는 가짓수가 있을 거예요. 쓴다면 나머지 동전 종류로 해당 동전의 액수만큼을 뺀 금액을 만드는 가짓수도 있고요. 답은 두 경우의 가짓수를 더한 것이 돼요. 재귀는 이런식으로 만들 금액이 0이 되거나 더 이상 제외할 동전 종류가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이인 3명이나 친구 사이가 아닌 t명이 있을 최소의 N 값을 R(3,t)라고 합니다. 앞에 든 예에 따르면 t=3일때 6명이면 반드시 그런 경우가 있으니 R(3,t)≤6이 됩니다. 5명일 때는 그런 일이 없을 때가 있어 R(3,t)=6입니다. 하지만 실제 R(3,t)가 저 속도로 증가하는지는 김정한 교수 연구 이전에는 아무도 ... ...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다른 함수는 코딩을 이용해 구하면 되지요. 문제 푸는 기술은 컴퓨터에 맡기자는 거예요. 이렇게 절약한 시간을 수학 개념을 이해하는데 쓰면 효율적이겠죠? Q 마지막으로 학생들에게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수학 개념과 원리를 이해했다면 어렵고 복잡한 문제는 코딩을 이용해 스스로 해결해서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해요. 단점도 있어요. 인공지능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경험이 부족해요. 예를 들어 의료 데이터의 경우 각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고, 데이터의 양도 무척 많죠. 그래서 인공지능 연구는 협업이 중요해요. 전공이 다른 여러 연구원들이 서로 모르는 부분을 조금씩 채워가며 일을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길을 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드론과 관제탑이 신호를 주고받는 방법을 정하는 거예요. 우리나라는 5G 통신망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요. 별도의 통신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전국 어디에서나 관제탑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거든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체계부 전대근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있답니다. 다음 소개할 사소한 과학은 손 관절을 꺾을 때 나는 ‘우두둑’ 소리예요. 재미있게도 과학자들은 이 소리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첨단 기술을 사용했답니다. 2015년,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손가락을 분석해 “*활액에 공기가 밀려들어올 때 소리가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 하늘색(→)’ 버튼은 방향키예요. ‘보라색(Go)’ 버튼은 ‘출력’ 버튼이랍니다.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 3번 직진하고, 오른쪽으로 꺾어 2번 직진한 다음 왼쪽으로 꺾어 2번 직진해야 도착할 수 있다면? 먼저, 빨간색 버튼을 1번 눌러 코딩 입력을 시작해요. 그 뒤 초록색 버튼 (↑, 직진) 3번,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칼 구스타프 헴펠이 ‘입증’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려고 만든 ‘까마귀 역설’ 문제예요. 그는 결국 빨간 장미가 ‘모든 까마귀는 검다’를 입증한다고 결론을 내렸답니다. 한편, 이처럼 입증이 갖고 있는 모호함 때문에 과학을 반증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운동도 있었어요. 검지 않은 까마귀가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별자리를 만들었어요. 이들은 같은 별을 보고 서로 다른 별자리를 그렸죠. 오리온자리를 예로 들어볼까요? 그리스 사람들은 오리온자리를 용맹한 사냥꾼 오리온의 모습으로 생각했어요. 이어진 별 세 개를 오리온의 허리띠라고 생각했죠. 동양에서는 오리온의 허리띠인 별 세 개가 세 명의 장군이라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을 때 전력 손실량을 줄이기 위해 최단거리로 연결하려면 꼭 바다를 거쳐야 하는 거예요. 이때 대부분의 전력은 교류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교류 전력 케이블을 이용하면 중간에 새는 양이 많아 30~50km가 넘는 지역까지 전력을 보낼 수 없다는 게 문제지요.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직류 형태로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