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별적으로 교수님께 연락해 일정 조율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재료공학부는 아예 제도가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또 한 씨는 “이름으로 혼란을 주지 않는 것이 재료공학부의 본질이자 장점”이라고도 말했다. 그는 “많은 학생들이 학과나 학부의 이름만 보고 지원했다가 막상 입학한 ... ...
- [알고리듬 시그널] 이 자료는 내가 보냈소! 디지털 서명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자기들만의 암호를 만들어서 단톡을 하다니! 견우도 하루하루 알고리듬 사고력이 향상하는 것 같죠? 견우의 알고리듬 요정인 저도 뿌듯하네요. 오늘은 메시지를 안전하게 ... 원리를 써요. 왼쪽 그림에 알기 쉽게 정리했으니 같이 공부하면 더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을 거예요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꾀하는 운동이 일어난 것이지요. 유럽 곳곳에서는 당대 최고의 철학자, 수학자 그리고 예술가들이 모여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프랑스 파리에서도 조르주 브라크와 피카소를 비롯해 시인과 문인이 모여 다양한 주제로 담론을 펼쳤습니다. 이중에는 프랑세라는 아마추어 수학자이자 보험계리사가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있다. 그런데 집합론이 발전하면서 20세기 수학은 추상적인 대상을 다루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있다. A에게는 수많은 속성이 있다. 키나 성격, 나이, 취미 등등 말이다. 하지만 추상 수학에서는 A의 다른 성질은 전혀 보지 않고 오직 한 가지 성질만 본다. 속성을 지닌 것들의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칼 구스타프 헴펠이 ‘입증’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려고 만든 ‘까마귀 역설’ 문제예요. 그는 결국 빨간 장미가 ‘모든 까마귀는 검다’를 입증한다고 결론을 내렸답니다. 한편, 이처럼 입증이 갖고 있는 모호함 때문에 과학을 반증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운동도 있었어요. 검지 않은 까마귀가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길을 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드론과 관제탑이 신호를 주고받는 방법을 정하는 거예요. 우리나라는 5G 통신망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요. 별도의 통신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전국 어디에서나 관제탑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거든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체계부 전대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과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 하늘색(→)’ 버튼은 방향키예요. ‘보라색(Go)’ 버튼은 ‘출력’ 버튼이랍니다. 예를 들어 목적지까지 3번 직진하고, 오른쪽으로 꺾어 2번 직진한 다음 왼쪽으로 꺾어 2번 직진해야 도착할 수 있다면? 먼저, 빨간색 버튼을 1번 눌러 코딩 입력을 시작해요. 그 뒤 초록색 버튼 (↑, 직진) 3번,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있답니다. 다음 소개할 사소한 과학은 손 관절을 꺾을 때 나는 ‘우두둑’ 소리예요. 재미있게도 과학자들은 이 소리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첨단 기술을 사용했답니다. 2015년, 캐나다 앨버타대학교 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로 손가락을 분석해 “*활액에 공기가 밀려들어올 때 소리가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다른 방어 전략이 있니? 나방 : 응. 우리 나방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박쥐의 수색을 피해. 예를 들어 ‘긴꼬리산누에나방’과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은 긴 꼬리를 이용한단다. 꼬리를 팔랑거리면서 박쥐의 초음파를 교란하는 식이지. 또 불나방과 나방들이나 박각시과 나방들은 직접 초음파를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을 때 전력 손실량을 줄이기 위해 최단거리로 연결하려면 꼭 바다를 거쳐야 하는 거예요. 이때 대부분의 전력은 교류 형태로 만들어지는데, 교류 전력 케이블을 이용하면 중간에 새는 양이 많아 30~50km가 넘는 지역까지 전력을 보낼 수 없다는 게 문제지요.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직류 형태로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