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3일 만에 이뤄낸 쾌거였지만, 일반 우주선보다 획기적으로 빠르지는 않았기에 조금 아쉬움이 남았다.속도를 보완하고자 여러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UC 샌타바버라 필립 루빈 교수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나사 첨단혁신연구프로그램(NIAC)’에서 ‘광자추진체’를 제안했다. ...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동작의 의도를 구별할 수 있다. 그는 “매우 도전적이지만 관련 연구가 세계적으로 조금씩 시작되는 걸 보면, 우리가 완전히 틀리진 않은 것 같다”며 웃었다.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자들이 연구단에 합류했다. 김기훈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신경신호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 최혁렬 성균관대 ...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알고, 방어하는 방법을 깨닫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엮어서 설명하면 조금 자연스러워집니다. 김성호 이화여대 심리학과 교수는 “가까운 사이에서 간지럼을 태우면서 서로 유대감을 끈끈하게 하는 동시에, 자식들한테 어디가 취약한 부분이니 방어하라는 것을 학습시키는 것”으로 ...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권영상 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권영준 아까부터 세종시 도면을 보고 있는데요. 조금 신기하게 생겼네요. 도시의 바깥쪽에 건물이 몰려있어요.권영상 눈썰미가 좋네요. 도시가 마치 도넛 모양처럼 생겼죠? 도시의 중앙은 공원이나 쉼터로 구성하고 공공기관과 주거 공간 모두 도시를 둘러싸도록 ... ...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쫓기다보니 연구자 스스로도 확신을 가지기 힘든 데이터를 논문으로 내기도 합니다. 조금 더 연구해서 완벽하게 발표하고 싶은 마음이 왜 없겠습니까.”겉으로 보기엔 화려해 보이는 분야도 속을 들여다보면 마찬가지다. 얼마 전 중력파 발견에 기여해 주목받은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의 강궁원 ...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해요. 뇌의 신경가소성은 어린 시절 가장 활발하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금씩 떨어져요. 그래서 어린 시절 새로운 언어나 운동 등을 쉽게 배울 수 있는 거지요.약시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인 ‘가림치료’는 뇌의 신경가소성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가림치료란 시력이 잘 안 나오는 눈을 되살리기 ...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겼는데, 가운데는 위아래로 불룩한 모양을 하고 있답니다.태양은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별이 많은 중심부를 보게 될 때 은하수가 더 두껍고 밝게 보이지요.그래서 은하수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넓고 밝게 보인답니다. 특히 여름철 궁수자리 방향이 밝은 데, ...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백성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화분에 심고 뿌리가 물에 닿게 하는 수경재배 ...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체회로를 설계한다. DNA 읽기, 쓰기, 편집 기술이 필요해여기엔 레고 조립보다는 조금 더 어렵고 복잡한 합성생물학 기술이 필요하다. 크게 ‘DNA 읽기’, ‘쓰기’, ‘편집’ 세 가지가 있다. DNA 읽기 기술은 말 그대로 DNA의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기술로, DNA 시퀀싱이라고도 한다. 이 기술은 현재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