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모래를 부으면 자연스러운 모래산이 생긴답니다. 이때 이 삼각형을 모래 바닥으로부터
조금
띄워야 모래산이 잘 만들어지지요. 과연 어떤 모래산이 나타날까요? 짠~. 피라미드를 닮은 삼각뿔 모양의 모래산이 생깁니다. 산꼭대기에는 삼각형 모양의 면 3개가 만나는 교점이 있지요. 교점으로부터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203일 만에 이뤄낸 쾌거였지만, 일반 우주선보다 획기적으로 빠르지는 않았기에
조금
아쉬움이 남았다.속도를 보완하고자 여러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UC 샌타바버라 필립 루빈 교수는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나사 첨단혁신연구프로그램(NIAC)’에서 ‘광자추진체’를 제안했다.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동작의 의도를 구별할 수 있다. 그는 “매우 도전적이지만 관련 연구가 세계적으로
조금
씩 시작되는 걸 보면, 우리가 완전히 틀리진 않은 것 같다”며 웃었다.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자들이 연구단에 합류했다. 김기훈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신경신호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 최혁렬 성균관대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취해 아내와 2살짜리 아들에게 주먹을 휘두르다 이혼당했다. 9개월 넘게 실직상태였고 보
조금
으로 간신히 의식주만 해결하며 살아왔다. 낮 시간 대부분을 지하철역 주변을 방황하며 보냈고 해가 지면 늘 술에 절어 있었다. 한마디로 별 볼 일 없는 ‘루저’였다. 저번 직장에 있었을 때 사무실 책상과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해요. 뇌의 신경가소성은 어린 시절 가장 활발하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금
씩 떨어져요. 그래서 어린 시절 새로운 언어나 운동 등을 쉽게 배울 수 있는 거지요.약시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인 ‘가림치료’는 뇌의 신경가소성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가림치료란 시력이 잘 안 나오는 눈을 되살리기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생겼는데, 가운데는 위아래로 불룩한 모양을 하고 있답니다.태양은 우리은하의 중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별이 많은 중심부를 보게 될 때 은하수가 더 두껍고 밝게 보이지요.그래서 은하수는 겨울보다 여름에 더 넓고 밝게 보인답니다. 특히 여름철 궁수자리 방향이 밝은 데,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못했거든요. 강연 직후 당장 정사각형이 여러 개 늘어선 격자에서 가로, 세로 길이를
조금
씩 바꿨어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더 큰 사각형을 이어 붙인 것이지요. 그러니까 이 사각형들이 뒤틀려서 2차원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되더라고요. 그런데 사각형의 길이를 그냥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동심원 두 개를 기준으로 사방에 7개의 삼각형이 있는 모양이다.그런데 보통 지도와는
조금
다르다. 바빌로니아인은 지도에 현실 세계뿐 아니라 미지의 세계까지 나타냈기 때문이다. 바빌로니아인은 세계가 평평한 대지와 바다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두 개의 동심원 중 안쪽에는 현실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백성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
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화분에 심고 뿌리가 물에 닿게 하는 수경재배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