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과연 몇까지 수를 셀 수 있을까. 궁금했던 필립스는 방에 숨겨놓은 달팽이의 수를 조금씩 늘려가며 실험을 계속했고, 6까지 셀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이 도마뱀이 6까지 셀 수 있는 이유는 야생의 생활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아프리카에서 사는 바위왕도마뱀은 달팽이도 먹지만 새나 다른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동작의 의도를 구별할 수 있다. 그는 “매우 도전적이지만 관련 연구가 세계적으로 조금씩 시작되는 걸 보면, 우리가 완전히 틀리진 않은 것 같다”며 웃었다.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자들이 연구단에 합류했다. 김기훈 KIST 로봇연구단 책임연구원(신경신호 측정 및 분석시스템 개발), 최혁렬 성균관대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은 쉽게 드러난다”고 덧붙였습니다.우리 주변의 의외의 살인병기는?만약 금자 씨가 조금만 더 과학을 잘했더라면 의심을 덜 받는 방법을 생각해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의 가까이에 있으면서도 전혀 위험성을 느끼지 못하는 살인병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소금’입니다. 소금으로 사람이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등이 대표적이다. 재밌는 건 이런 단어의 의미 그룹을 대륙별로 세분화해 보면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아프리카 대륙의 언어에서 불은 열기, 빛, 화, 화재 외에도 불꽃(flame), 장작(firewood)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반면 유라시아 대륙에서는 장작이라는 뜻 대신 발열(fever), 발포(gunfire), 활활 타다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못했거든요. 강연 직후 당장 정사각형이 여러 개 늘어선 격자에서 가로, 세로 길이를 조금씩 바꿨어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더 큰 사각형을 이어 붙인 것이지요. 그러니까 이 사각형들이 뒤틀려서 2차원 평면에 있지 못하고 3차원으로 확장이 되더라고요. 그런데 사각형의 길이를 그냥 ...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람들은 달이 차고 기우는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게 아니다. 오래전부터 수학뿐아니라 우리 실생활 곳곳에서 사용했는데, 이름은 지금과 조금 달랐다고 한다. 어떤 이름이었을까?사인곡선은 누가 처음 썼을까?우리가 쓰고 있는 삼각비 기호 sin, cos, tan은 각각 sine, cosine, tangent의 줄임말이다. 그런데 사실 지금의 삼각비 기호는 많은 변천을 거쳐 ...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부품화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생물의 특성상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유전자 서열이 조금씩 다르다. 동일한 아미노산을 만드는 유전자 정보(코돈)라 하더라도 종마다 주로 사용하는 코돈이 달라 그 빈도를 맞춰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컨대 아미노산 중 아르기닌의 정보를 가진 DNA는 네 가지다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여부로 토양에서 MMO를 가진 미지의 미생물을 찾는다. 이후 MMO를 만드는 유전자를 조금씩 변형해 여러 개 만든 뒤, 녹색형광의 세기를 기준으로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이는 유전자를 찾는다. 이승구 생명연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유전자에 작은 변이만 있어도 단백질의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것인 줄만 알았다.몇 달 후, 해처는 골편이 놓여 있던 지점을 다시 찾아 주변을 조금씩 파헤쳤다. 그러자 땅속에서 척추뼈와 갈비뼈, 그리고 골반뼈의 일부가 추가로 나타났다. 해처는 이 화석들을 포장해 박물관으로 향했다. 그런데 박물관에서 이 화석들을 연구해보니 갑옷공룡의 것이 아니었다. ... ...
이전1731741751761771781791801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