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사용하고 있다.그런데 실제 태양년의 길이는 365.2422일로 그레고리력의 1년 평균 길이와 조금 다르다. 그래서 그레고리력에서는 윤달을 넣어 시간을 보정해 400년을 주기로 딱 맞아 떨어지게 만든다. 즉 그레고리력을 쓰면, 400년을 주기로 모든 요일과 날짜가 반복된다. 13일의 금요일은 달력의 주기에 ...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동심원 두 개를 기준으로 사방에 7개의 삼각형이 있는 모양이다.그런데 보통 지도와는 조금 다르다. 바빌로니아인은 지도에 현실 세계뿐 아니라 미지의 세계까지 나타냈기 때문이다. 바빌로니아인은 세계가 평평한 대지와 바다로 이뤄져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두 개의 동심원 중 안쪽에는 현실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백성이 굶주릴 때 하늘에서 내려준 음식이 바로 ‘만나’다.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화분에 심고 뿌리가 물에 닿게 하는 수경재배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쫓기다보니 연구자 스스로도 확신을 가지기 힘든 데이터를 논문으로 내기도 합니다. 조금 더 연구해서 완벽하게 발표하고 싶은 마음이 왜 없겠습니까.”겉으로 보기엔 화려해 보이는 분야도 속을 들여다보면 마찬가지다. 얼마 전 중력파 발견에 기여해 주목받은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의 강궁원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생체회로를 설계한다. DNA 읽기, 쓰기, 편집 기술이 필요해여기엔 레고 조립보다는 조금 더 어렵고 복잡한 합성생물학 기술이 필요하다. 크게 ‘DNA 읽기’, ‘쓰기’, ‘편집’ 세 가지가 있다. DNA 읽기 기술은 말 그대로 DNA의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기술로, DNA 시퀀싱이라고도 한다. 이 기술은 현재 ...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배가 작고 파고가 높으면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이 선장은 “온누리 호의 경우 파고가 조금만 높아져도 연구를 중간에 멈추고 피항해야 했다”며 “이사부 호로 바다에 나가면 훨씬 더 편하고 안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들도 결국 사람이고 안전이 보장돼야 연구도 가능한 것이라는 생각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그곳에는 박재현, 남기현 두 박사님께서 기자단친구들을 기다리고 계셨죠.“이곳은 조금 전까지 친구들이 봤던 장치들에서 만들어진 엑스선을 실제로 실험에 사용하는 곳이랍니다.‘빔라인’이라고 부르는 곳이죠. 노란색 박스로 둘러싸인 곳에서는 주로 화학자들이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초파리 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문석준 연세대 치대 교수는 “연구실마다 레시피가 조금씩 다른데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레시피를 통일하자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고 말했다. 한두 번 해보면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는 작업이기 때문에 연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알바생을 많이 쓴다고 한다. ... ...
- [Tech & Fun] 고담(GOTHAM)의 ‘풍선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살인대상은 열기구에 실려 무사히 지상으로 내려오겠죠.목적이 조금 다른 대형풍선도 있습니다. 바로 라디오존데용 풍선입니다. 라디오존데는 지상에서 고도 30km까지 고도별 기압과 기온, 습도, 풍향, 풍속 등을 관측하는데 쓰는 작은 기구입니다. 이런 풍선은 보통 비중이 ... ...
-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했다. 실험 결과 소외감을 느낀 사람은 소외당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같은 감정이지만 조금씩 다른 표정을 잘 구분하지 못했다. 반면 아예 다른 표정을 구분하는 능력은 더 뛰어났다. 감정의 미묘한 변화보다는 관계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차이에 집중한다는 뜻이다.이처럼 소외감을 느낀 ... ...
이전1751761771781791801811821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