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로 분해해야 비로소 해독 끝.ADH 효소를 잘 만드는 유전자(ADH2-2, ADH3-1)를 가진 사람은 술을 조금만 마셔도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빨리 만들어져. 아시아인과 이스라엘 사람, 그리고 마오리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에서 이런 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술을 마실 때 얼굴이 시뻘개지는 등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스크린에 띄워진 예정 궤도선을 따라 금성 탐사선 ‘아카쓰키(曉·새벽)’의 실제 속도가 조금씩 덧그려졌다. 탐사선은 금성에 서서히 접근하고 있었다. 금성의 중력에 잡혀 적도면 근처를 공전하는 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다. 5년 전 주엔진이 작동 불능 상태가 된 탓에, 연구팀은 위성의 자세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저지른 뒤 범행을 숨기기 위해 시체를 물에 집어넣는 경우가 있잖아요. 이런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는 사건을 맡게 되면 온몸의 솜털까지 솟는 듯한 긴장을 느끼게 됩니다.”그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있을 때 수‘ 중시체 일보전진’이라는 원칙을 세웠다. “경찰이나 법의학자도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먹잇감의 소변 냄새를 찾아 사냥한다는 연구 결과가 2010년에야 나왔을 정도다. 고양이를 조금 더 길들인다면 마약 탐지묘(猫)가 탄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고양이는 그저 인간 주변을 어슬렁거렸고, 인간은 관용을 베풀었을 뿐이다.그러나 이제 고양이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바로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행동은 그 소유자에게 쓸모가 있어야 한다고 신신당부했다. “자연 선택은 개체에 조금이라도 해로운 특성은 절대로 만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이득에 의해서만, 그리고 이득을 위해서만 작동하기 때문이다.”일개미와 일벌은 다윈에게 모욕감을 준다. 그들은 손해를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었지만 잔류 기준이 엄격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산분해간장에 양조간장을 조금만 섞어도 혼합간장이라고 부를 수 있게 한 건 혼란을 줄 것 같습니다. 산분해간장을 먹고 싶지 않은 소비자라면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을 테니까요. 어찌됐든 우리 부모님들이 왜간장이라고 불렀던 건 ...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갑자기 희망이 생기는구나. 그럼 어서 빨리 나도 좀 구해줘!”“제가 문제를 풀 수 있게 조금만 도와줘요! 프랙탈을 어쩌다 연구하게 됐죠?”잠시 고민하던 만델브로는 IBM연구소에서 일할 때부터 이야기를 시작했다.“나는 오랜 세월 동안 이집트 나일강이 불어났다 줄어들었다 하는 변화에 관심이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주먹을 쥐지 않고 손바닥을 힘 있게 펴서 실제 호랑이가 상대를 후려치듯이 휘두릅니다. 조금 다른 점이 있다면 ‘선방어 후공격’이라는 겁니다. 우선 한 손으로 상대의 공격을 방어해 무력화시킨 뒤, 다른 손으로 빠르고 강하게 상대를 가격합니다. 현실에서 먹이사슬 꼭대기에 있는 호랑이는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또는 그녀)의 취향이 발라드라 할지라도 그날만큼은 발랄한 노래를 들려주자. 당신이 조금만 웃어도 활짝 웃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4. 편안한 템포는 따로 있다만약 귀에 이어폰을 꽂을 용기가 없더라도 걱정하지 마시라. 함께 밥 먹는 식당에 노래를 신청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 ...
- [Tech & Fun] 소녀탐정 ㅊ씨의 S(cience)-File ❷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上)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분들은 이미 아실테지요.뼈의 일부만 있어도 키 알 수 있어 법의학 서적이나 인터넷을 조금만 찾아봐도 시체의 뼈를 이용해 사망자의 키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전체 뼈가 모두 남아있지 않더라도, 혹은 두개골이 없어도요. 뼈의 일부로 키를 추정하는 공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쓰이는 공식은 195 ... ...
이전1791801811821831841851861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