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포식하고 고치벌이 기생하는 장면이 자주 목격된다. 그들의 생태를 전혀 모른
채
불과 8차례에 불과한 출현으로 이런 잣대를 들이대는 건 너무 섣부르다. 개미귀신 개미집귀뚜라미 개미살이맵시벌 물장군의 외래종인 블루길 황소개구리 포식 장면 이 모든 오해를 덮을 수 있는 근거로 IUCN ... ...
아기 새는 '비브라토'로 노래를 배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6
비브라토는 새끼 새의 학습 과정에서 나오는 시행착오인 것이다. 머리에 전극을 꽂은
채
활동 중인 새. -사진 제공 윤신영 연구팀은 새의 뇌에 전극을 꽂아 활성을 측정하는 연구를 통해(위 사진) 비브라토를 조절하는 신경망도 발견했다. 대뇌 기저핵 부위다. 대뇌 기저핵은 척추동물의 전뇌에 ... ...
공정률 60% 눈앞…“핵융합실용화 인류운명 가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10.14
com 조립동 가장 안쪽에는 철탑처럼 생긴 진공용기 조립장비가 거대한 양 날개를 펼친
채
서 있었다. 높이 22m, 폭 20m에 이르는 이 장비는 한국의 SFA가 제작했다. 진공용기 섹터를 가운데 매달고 양쪽에서 초전도 자석을 끼우는 데 사용된다. 거대 중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오차 범위 2㎜ 이하의 매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속가능한 행복을 위해 '엉뚱함'이 필요하다
2018.10.13
너무 즐거웠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바람은 현실적이어서 아침에 침대에 누워 있는
채
로 씻겨주고 이빨 닦아 주고 밥 먹여주고 학교 의자까지 자동으로 태워다 주는 로보트 같은 것만 줄창 그렸었다. 당시 학교 숙제였던 일기에도 우리 동네에 나쁜 사람들이 쳐들어 온다면 어떻게 방어할 것인지 ... ...
[2018국감]시험발사 집중해야 하는데 현장시찰 나간다고 생떼쓰는 철없는 의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0
나왔다. 하지만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대부분의 의원들이 연구 현장의 현실을 외면한
채
이슈 만들기에 급급한 질책과 정책을 쏟아내면서 정책 국감에 대한 기대가 희석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경진 민주평화당 의원은 이날 오전 질의를 통해 “누리호 시험발사는 방송을 통해 왜 ... ...
세계 음료시장 석권 노리는 KAIST MBA 출신 4인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많아 개발과정이 낯설지 않았기 때문이다. 부루구루는 지난 해 12월 출범했다. 1년이
채
안 됐지만 벌써부터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내 투자전문기업 퓨처플레이, 미국 스파크랩벤처스 등으로부터 총 7억 원을 유치했다. 회사가 궤도에 올라서자 지난 5월엔 모교인 KAIST에 1억 원의 발전기금을 ... ...
“술 취해 비틀?” 의견 분분한 미국 ‘만취 새 소동’
동아사이언스
l
2018.10.08
죽는 사례가 급증했다. 집 만 앞에 쓰러져 죽기도 하고, 사람이 다가와도 도망치지 않은
채
몸을 가누지 못하고 누워 있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지역 언론인 ‘둘루스 뉴스 트리뷴’에 따르면, 당시 경찰서에 “새의 이상한 행태”에 관련된 제보가 수십 건 몰려들었다. 당시 길버트시 경찰서장은 ... ...
국제전기전자학회저널 새 편집장에
채
찬병 연세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8.10.07
IEEE) 저널의 새 편집장으로
채
찬병 연세대 언더우드특훈교수가 선출됐다.
채
교수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학 전기컴퓨터공학과 박사를 취득한 뒤 하버드대학 박사후연구원, 미국 벨연구소 책임연구원을 거쳐 2011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IEEE 커뮤니케이션 매거진과 IEEE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절대 잊히지 않는 기억
2018.10.07
트라우마는 마치 남의 이야기처럼 객관적으로 볼 수 있을테죠. 고통의 정서가 탈색된
채
회색 빛으로 남을 것입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내가 사는 트라우마 SM-046의 삶은 그리 순탄치 않았습니다. 여자는 도시의 빈민가에 살았습니다. 밤에는 혼자 돌아다니기 어려운 우범 ... ...
日·獨 "소행성 착륙 탐사로봇 '마스코트' 임무 성공" 공식 선언
2018.10.05
목표이며, 2018년 10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세 번 표면에 다가가 소행성 표면 및 지하 시료를
채
취해 2020년 지구로 돌아올 계획이다. 탄소가 풍부한 ‘C형’ 소행성인 류구의 시료를 확보해 내부의 물과 유기물을 연구함으로써 지구 바다와 생명의 기원을 밝히는 게 목표다. 한편 이번 마스코트 임무의 ... ...
이전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