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뉴스
"
채
"(으)로 총 3,82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사랑탐사대 어벤져스 '앤트맨'과 함께 숲속 개미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05
짝짓기를 마친 여왕개미가 새로운 정착지를 개척할 때, 성공적으로 정착할 확률은
채
1%가 되지 않아요. 이후 왕국으로 성장하기도 어렵고요. 이처럼 개미의 생존은 엄청난 노력과 희생의 결과랍니다. 크기가 작다고 해서 개미의 존재를 하찮게 여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출처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만드는 유전자 서열을 함께 연결해서 발현시키면 파지는 그 유전자가 뭔지도 모른
채
발현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재조합단백질이 파지의 표면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항체 일부 중 항원을 인식하는 부위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함께 연결하여 발현시키면 그 항체의 일부가 파지 표면에 발현이 되는 ... ...
[과학 읽어주는 언니]총알 막고 화염에도 거뜬한 그래핀 슈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쌓인 그래핀 사이의 열전도율은 그래핀 층 내부 열전도율의 100분의 1도
채
안 된다. 이런 비대칭적인 열전도율 때문에 열이 가장 바깥쪽에 있는 그래핀 층에만 퍼질뿐 내부로는 쉽게 전달되지 않는다. 화염에 휩싸여도 끄떡없는 셈이다. 가볍고 강한 방탄복이나 우주에서도 쓰일 수 있다. 지구 ... ...
개미에게 먹힌 도마뱀
팝뉴스
l
2018.10.04
리딧에 최근 공개되어 큰 주목을 받은 사진이다. 도마뱀이 건물 벽에 거꾸로 붙은
채
개미들의 공격을 당했다. 어떻게 저런 일이 벌어질 수 있을까. 미스터리다. 도마뱀이 달아나지 않은 이유를 추측하기 어렵다고 많은 네티즌들이 말한다. 한편 개미가 얼마나 무서운 존재인지 보여주는 ... ...
"빛을 도구로 쓰는 인류의 탄생”…노벨물리학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3
탁구공을 공중에 띄우는 경우다. 헤어드라이기를 잘만 조절하면 탁구공을 계속 띄운
채
로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여러분도 충분히 집에 할 수 있다." "이런 광학집게의 발명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그리고 살아 있는 세포까지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학집게를 ... ...
“뒤뚱뒤뚱 펭귄? 물속선 200m까지 나는 새”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커다란 잠자리
채
같은 그물망으로 덮은 뒤 다리를 잡아 번쩍 들어올리고, 껴안은
채
눈을 가리는 ‘기술’도 그때 습득했어요.” 그는 원래 까치 전문가였다. 6년 넘는 석·박사 과정 내내 까치의 행동과 생태를 관찰하고 연구했다. 영장류 등 극히 일부 동물만이 가지고 있다고 알려진 사람의 ... ...
게임에 빠진 ‘초딩 스몸비’ 휴대전화 코 박고 차도로 불쑥
동아일보
l
2018.10.01
게임 화면에 뜨는 캐릭터에 가까이 다가가 잡겠다는 일념에 주변을 살피지 않은
채
차도로 불쑥 뛰어드는 아찔한 장면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다. 학교 안팎에서 학생들의 크고 작은 부상이 이어지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별 스몸비(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 방지 교육’을 실시했다. 이 씨는 ... ...
[2018노벨상]수상자 업적 근접한 한국 과학자 6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등 과거수상자와 비교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한국은 본격적인 기초연구를 시작한지
채
30년이 되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과거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에 근접한 성과를 내놓은 학자들이 있다. 30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과학기술 논문 평가에 자주 이용되는 피인용 회수 등을 ... ...
보수성향 독자도 진보 매체에 끌릴 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7
매체 뉴스를 소비하고 여기에 신뢰점수를 높게 준 것이 확인됐다. 뉴스의 출처를 모른
채
글을 읽는 그룹에서 우파적 성향을 가진 사람은 뉴욕타임스와 같은 진보적 매체의 뉴스를 읽었을 때 내용의 신뢰도를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추가로 확인됐다. 그 반대의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갤럽은 ... ...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26
호흡할 수 없다. 따라서 물속에 가라앉은 유기물은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지 않은
채
곧바로 바닷속 흙에 묻힌다.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지 않고 갯벌이나 바닷속 토양에 저장되는 것이다. 갯벌에 사는 미세조류. 옆의 진흙과는 달리 누런색을 띠고 있다. - 서울대학교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