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수술부터 공포증까지, VR 치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부분을 확인하고 어떻게 치료할지 계획할 수 있지요.연구팀은 가상 심장으로 혈관의 위치나 치료해야 할 부분을 계속 확인하며 실제 심장을 수술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의 비밀Part 1. 뇌까지 착각하게 만드는 VR 헤드셋Part 2. 세상을 고스란히 담은 VR ... ...
- [과학뉴스] 컴퓨터가 연출한 그림자 연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다는 데 착안하고 함수를 만들었다. 즉, 사람의 자세를 결정하는 관절의 각도와 위치를 변수로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그림자가 목표와 얼마나 일치하는지 비교했다.연구팀은 알고리즘을 이용해 코끼리와 토끼처럼 복잡하게 생긴 동물에 대해서도 적절한 동작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해당 ...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남부에 사는 이들에겐 평균보다 더 많은 아프리카인 DNA가 있었다(83%). 특히 남동부에 위치한 플로리다 주가 89%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남부의 사우스캐롤라이나 주가 88%로 뒤를 이었다. 반면 미국 북부와 서부에 사는 이들에겐 아프리카인 DNA가 평균보다 적었다(각각 80%, 79%). 다시 말해, 현재 미국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들은 한 번 갔던 길을 다음에 또 갈 때 최적의 경로로 간다. 즉, 목표물과 자신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데다 목표물 주변의 대표적인 표지(랜드마크)를 기억했다가 행동을 바꿀 줄 안다는 뜻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어떤 곤충은 다른 곤충의 의식을 무력화시킬 줄도 안다. 보석말벌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없이도 파동을 표현할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한 형태가 될 것”이라며 “복소수는 위치와 방향을 한 번에 표현할 수 있는 최고의 도구”라고 말했다. 최근에는 다른 분야에서도 방향성과 크기를 가진 현상을 설명하는 데 복소평면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신경과학이다. 뉴런간의 신호를 ... ...
- 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해수면에서 25m 아래에 있으니, 결과적으로 해저터널은 해수면에서 80m 가량 아래 위치하고 있다. 꽤 거리가 떨어져 있지만, 해저지반을 이루고 있는 암석 사이로 스며든 바닷물은 터널 속으로 계속 흘러내릴 수밖에 없다. 해저터널에서는 침수가 가장 위험한 사고기 때문에, 이렇게 흘러내리는 물을 ... ...
- 미스터리 3. 사막에 나타난 유령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막의 미스터리한 현상 중에는 ‘신기루’도 있어요. 신기루는 어떤 물체가 실제의 위치가 아닌 곳에서 보이는 현상이에요. 예를 들면 빽빽하게 나 있는 나무들이 마치 지표면을 기준으로 위아래 대칭으로 뒤집혀서 또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거죠. 따라서 이 모습을 본 사람들은 나무 아래에 호수가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명시돼 있었다. 아래는 CERN에서 보낸 메일에서 일부 발췌한 내용이다.“우리는 연구소가 위치한 스위스를 포함한 몇몇 회원국의 일부분이 아니며, EU 회원도 아니다. 영국이 CERN의 회원인 것은 EU를 탈퇴한다는 영국의 투표 결과에 어떤 영향도 받지 않는다.우리는 입자 물리학의 국제적인 협업을 더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못한 우리는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는지는 알지 못한다.나는 제비가 황해를 지나갈 때 잠깐 위치 추적이 되지 않았던 때가 있었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황해 상에서 제비가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굉장한 기술을 가진 이들에게 포획되었던 것 아닌가 상상해 보기도 했다.외계인이나 우리가 알지 못하는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섬이 생겨났답니다. 대서양과 인도양 등 오대양 지역에도 쓰레기 섬 5개가 생겼는데, 그 위치와 해류가 소용돌이치는 지역이 완벽히 일치하지요.해양동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물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무조건 물에 뜰 거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 ...
이전174175176177178179180181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