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홍채의 반지름 길이를 더 넓게 확장시켜주는 주름이다. 이런 주름은 사람에 따라 팬 위치, 깊이가 제각각이다. 자연히 그에 따라 생기는 홍채의 명암 패턴도 사람마다 다르다. 패턴은 보통 한두 살 때 만들어져서 평생 일정하게 유지된다. 물 만난 홍채인식 기술영국 캠브리지대 존 더그먼 교수는 20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엘리트 과학자들과 달랐다. 네트워크에서 서로 연결 관계가 없는 여러 집단을 이어주는 위치(구조적 틈새, Structural Hole)에 자리 잡고 있다는 뜻이다. 즉, 양쪽으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반면 엘리트 과학자들은 다른 연구자들과 연결은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여한다. 얼굴에 있는 지방도 표정을 만드는 데 일조한다. 지위가 어떤 모양으로 어느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다양방은 얼굴 구획마다 나뉘어 분포해 있고 피부와 강하게 붙어 있다. 구획의 경계마다 인대가 있어서 표정을 짓게 되면 어떤 부위는 많이 움직이고 어떤 부위는 상대적으로 고정돼 있다. ...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밝히려고 한 것입니다.그 결과 칼라니쉬 환상열석과 스테니스에 세워진 돌기둥의 위치는 달의 주기에 딱 맞아 떨어졌습니다. 돌기둥이 있는 지역을 반으로 나눴을 때, 각각은 완전히 반대의 형태 이루고 있었습니다. 돌기둥의 한쪽은 태양이 가장 높이 뜨는 하지에 북쪽 지평선이 남쪽 지평선보다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라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됐다. 이걸 이용하면 서로 다른 두 사람이 우연히 같은 위치에 동일한 치료 흔적을 가질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검색 프로그램에 따르면 100쪽 치아 사진처럼 32개의 치아가 모두 나있고 그 중 어금니 4개에 치료 흔적을 가진 사람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은 약 ...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순찰 계획을 짠다. 팡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PAWS는 밀렵꾼이 덫을 배치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즉 밀렵꾼의 행동모델을 스스로 만든다”고 설명했다.“동물의 밀도나 지형 정보, 그 지역에 순찰대가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등 밀렵꾼이 덫을 놓는 장소를 정하는 데 고려할 만한 정보들을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래서 경북, 충북, 경기, 강원도 같은 북쪽 지역에서 자라는 진달래 가족은 남쪽에 위치한 전남, 경남, 제주도보다 꽃을 늦게 피운답니다. 또 남쪽일지라도 해발고도가 높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의 경우 북쪽의 고도가 낮은 지역보다 개화가 느리구요. 그 결과 우리는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함수를 구한다. 다시 말해, 유한한 개수의 음원으로 연속 함수를 만들어 녹음되지 않은 위치에서도 소리가 어떻게 들리는지 알아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 어느 수학자의 보고서PART 1. 현실보다 더 현실같은 가상현실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운동피질인 6번은 기능으로 구분됐고, 배쪽 연결로인 4번과 전두부 피질 아래쪽인 18번은 위치로 구분됐죠. 이를 토대로 오른쪽과 같은 1차 지도가 만들어졌습니다.하지만 앞서 말했듯 하나의 영역은 동시에 여러 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 영역에 22가지 색 중 적게는 두 개에서 많게는 네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생기고, 이 전기에너지가 전자제품을 작동시키는 거예요.과학자들은 ‘전자의 위치(높이) 차이’를 줄여 ‘전위차’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또한 전자의 흐름을 ‘전류’라고 부르기로 했지요. 물이 흐르는 경사가 가파를수록 물이 빠르게 흘러 물레방아를 더 세차게 돌릴 수 있겠죠? 마찬가지로 ... ...
이전1721731741751761771781791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