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해양판 기원설일본과 중국 연구팀은 최근 지진파토모그래피 연구를 통해 일본 동쪽에 위치한 해구로부터 섭입하는 태평양판이 백두산 아래 심도 약 500~600km에 있는 상부맨틀과 하부맨틀의 전이대까지 깊숙이 들어가 만주 끝까지 뻗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들은 백두산 심부를 통과하는 지진파의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단위로 저장되는데, 섹터마다 저장된 위치가 다르다. 즉, 정보는 흩어져서 저장된다. 위치 정보는 이렇게 흩어진 핵심정보를 온전히 찾아 읽기 위해 필요하다. 파일을 지우면 핵심 정보가 사라지는 게 아니라 이 링크 정보가 삭제돼 파일을 찾지 못하게 된다.하지만 이 경우엔 정보를 살릴 수 있는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모자라서 졌다고 할것도 없다. 변수는 많았고 나도 그 한 변수였을 뿐이다. 모두가 제 위치에서 할 수 있는 것을 다 했고 나도 그랬을 뿐이니까. 신영희는 머리를 쓰다듬었다. 보는 사람도 없는데 쑥스럽게 웃었다.이처럼 멋들어진 패배로 마무리 지은 승리라니.내 말로써 말의 시대를 저물게 해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아니라 균형이 잡혀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횟수와 크기, 위치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문양을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GIB 1. 대상 : 대칭의 원리를 이용해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보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자르고 접어서 대칭 ... ...
- Part 1. 비밀 조직의 존재를 눈치채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뜻입니다.수학동아는 이 홈페이지의 정보와 맞지 않는 현실을 포착했습니다. 산타 위치 추적 홈페이지에 따르면 산타는 사슴이 끄는 썰매를 타고 해안선 쪽으로 입국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바닷가에 가까이 산다고 해서 내륙지방에 사는 아이들보다 선물을 일찍 받지는 않습니다. 성탄절 선물을 1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만약 사각형의 위쪽 변과 새가 부딪혔는지 판정하고 싶다면 원의 중심 (a, b)와 직선 y=f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돼요. 우선 원의 중심 (a, b)에서 x값인 a가 c-r과 d+r 사이에 있는지 봐요 해요. 이 사이가 아니라면 새와 장애물은 부딪히지 않아요.c-r≤a≤d+r이면 직선 y=f에서 x값을 원의 중심과 같은 ...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배터리는 보통 흑연으로 만든 음전극과 산화 리튬 코발트로 된 양전극, 그리고 가운데 위치한 전해질이 층을 이루고 있다. 전하를 띠는 리튬이온이 양전극에 잡혀 전해질과 음전극으로 들어가는 양이 많을수록 용량이 커지는 원리다.영국 케임브리지대 금속재료과학과 바센트 쿠머 교수팀은 기존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범인에게 자백을 받아내기도 하고, 폭탄 테러범의 미세한 표정 변화만 보고 폭탄의 위치를 찾기도 합니다. 어째 범인보다 수사관이 더 사기꾼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요. 과연 이렇게 사소한 정보로 정말 진실을 알아낼 수 있을까요.몸의 소리를 듣는 법실제로 사람들의 심리를 변화시키고 행동을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표현했습니다.오닐은 이미지를 캔버스에 투영하는 최적의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거울의 위치를 이리저리 조금씩 움직여보며 실험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평면거울 하나와 오목 거울 한 개를 엇갈려 뒀을 때 상이 명확하게 비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오목거울을 이용했기 때문에 상은 거꾸로 ... ...
- [과학뉴스] 이제 소리도 홀로그램으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알파벳 A의 형태로 음향의 위치가 이동된 것을 확인했다. 커머 교수는 “빛을 원하는 위치에 모으는 홀로그램 기술을 소리에 적용했다”며 “소리의 파동을 더 정확하게 분석하면 음향으로 가상현실 체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10월 14일자에 발표됐다 ... ...
이전1681691701711721731741751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