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앞서 필요한 장비를 살펴봤다.백두산 시추 탐사의 첫 단계는 백두산 지하 마그마 방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지하 10~40km 구간에 걸쳐 마그마 방이 여러 개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크기나 치우친 방향이 정확하지 않았다. 땅속은 인체나 사물처럼 360° 각도에서 관측하는 것이 ... ...
- [Knowledge] 최고를 향해 달리는 기술, 슈퍼카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5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세스토 엘레멘토라는 이름도 주기율표에서 탄소의 위치인 ‘6번째 원소’를 스페인어로 쓴 것이다.하지만 가볍다고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고속으로 달리는 자동차가 가벼우면 안정성이 떨어진다. 차량과 도로의 접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차가 바람의 힘을 받아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범인에게 자백을 받아내기도 하고, 폭탄 테러범의 미세한 표정 변화만 보고 폭탄의 위치를 찾기도 합니다. 어째 범인보다 수사관이 더 사기꾼 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요. 과연 이렇게 사소한 정보로 정말 진실을 알아낼 수 있을까요.몸의 소리를 듣는 법실제로 사람들의 심리를 변화시키고 행동을 ... ...
- [교과연계수업] 자르고 접어서 대칭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아니라 균형이 잡혀 아름다운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횟수와 크기, 위치를 다양한 조건에 따라 바꾸면 수많은 문양을 만들 수 있는 장점도 있다. GIB 1. 대상 : 대칭의 원리를 이용해 아름다운 무늬를 만들어 보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자르고 접어서 대칭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예를 들어 시간에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함수(곡선)를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순간적으로 위치가 변하고 있는 변화율(기울기)인 순간 속도가 나온다.]더 나아가 선이 얼마나 부드러운지도 수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함수를 두 번 미분하면 ‘곡률’을 얻을 수 있고, 이는 선이 얼마나 휘어있는지를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스타벅스 음료를 주문해 뒀으며, 첨부파일을 내려 받으면 음료를 받을 수 있는 매장의 위치와 시간, 메뉴를 확인할 수 있다’고 적혀 있다. 이 첨부파일을 열면 악성 파일이 실행되고, 컴퓨터가 봇넷의 일부가 돼 사이버 범죄에 쓰이거나 중요한 정보를 잃을 수 있다.최초의 스팸메일은 1978년, 컴퓨터 ... ...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칩이며 여러 개를 연결하기에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이런 멤리스터가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한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역할을 하게 된다.연구팀은 여러 개의 멤리스터를 연결한 뒤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제어하면 향후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결정했다. 우리가 정한 장소는 콘퍼러스가 열렸던 호주연방과학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서호주 북부의 노스폴 지역이었다. 노스폴은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 화석 중 하나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외계생명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들이 자주 찾는 지역이다. 어떤 ...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환경과 돌의 움직임을 3년 동안 관찰해 직접 확인했거든요. 연구팀은 60여 개의 돌에 위치 추적 장치를 붙이고,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 15개로 돌 주변의 날씨를 꾸준히 조사했어요. 그 결과 데스밸리의 땅은 겨울철에 얼었다가 살짝 녹아 진흙이 되는데, 그 때 돌이 진흙위를 1분에 5m정도 움직인다는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상에 포물선 모양의 유리접시를 만들어 태양빛을 모은다. 이 유리접시는 태양의 위치 변화를 쫓아가며 최대한 많은 빛을 모으도록 설계했다. 포물선의 초점 부위에 모인 태양빛은 광섬유 튜브를 따라서 지하로 전달된다. 이렇게 지하에 도달한 빛은돔 형태의 전등갓에서 여러 방향으로 ... ...
이전1691701711721731741751761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