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한 번에 한 시료씩 분석하는 동식물과 달리 미생물은 하나의 시료 안에 많게는 수천
종
이 있다. DNA 바코드 기술은 이들을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게 해준다.DNA 바코드 기술은 새로운 감염 진단 기술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 동안의 진단 기술은 하나 또는 몇 개의 병원성 미생물 정도만 검출할 수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물뱀도 있을 정도로 가늘고 긴 몸으로 움직이는 데 한계가 없다(물뱀은 바다뱀의 일
종
으로 강이나 개울에서 헤엄치는 뱀은 물뱀이 아니다).뛰어난 환경 적응력 덕분에 뱀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물론 도심에서 보기 어려워졌지만 뱀은 분명 유연함 속에 강함을 감추고 있다. 수많은 ... ...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이
종
역시 무시당했습니다. 미개하다고 업신여김 받던 아프리카에서 인간 같은 훌륭한
종
의 조상이 태어났다는 사실을 차마 인정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고인류학자들은 두 후보를 대신해 세 번째 후보를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아시아인 중국에서 발견된 베이징인이었습니다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무자치가 새끼를 낳는 뱀이랍니다.잠깐!귀한 뱀의 모성애지구에 사는 뱀의
종
류는 약 3000
종
이다. 이 중 모성애를 지닌 뱀은 10
종
정도 밖에 없다. 모성애를 지닌 뱀 중 우리나라에는 먹구렁이와 누룩뱀이 살고 있다. 먹구렁이와 누룩뱀 어미는 부드러운 흙에 알을 낳고 주변을 지킨다. 그리고 알들을 ... ...
사슴 vs 순록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노루, 고라니 이렇게 네
종
이에요. 백두산사슴은 백두산 부근에 사는 사슴으로 네
종
의 사슴 중 가장 커요. 대륙사슴은 등과 옆구리에 반점이 있어 꽃사슴이라고도 부르지요. 노루는 어릴 때는 몸에 흰 점이 있지만 크면서 없어져요. 고라니는 암수 모두 뿔이 없답니다 ... ...
조기 vs 굴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앞바다를 지나는 참조기를 잡아 천일염으로 만든 굴비를 영광굴비라고 부르지요. 고려 인
종
때, 난을 일으킨 이자겸이 법성포로 귀양을 왔다가 바닷바람에 말린 조기를 먹어 보고 그 맛이 뛰어나 임금에게 바쳤어요. 이때부터 영광굴비는 수라상에 올라가는 유명한 음식이 되었답니다 ... ...
제인 구달 박사가 전하는 지구사랑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3호
직접 쓴 편지들.➌ 개발 중인 무자충 조명용 페인트를 조명에 칠하는 환희 학생.➍ 모눈
종
이에 옥상 평면도를 그리고 조명의 위치를 표시해 무당벌레가 많이 죽는 곳을 표시했다.안 쓰는 전자제품 여기로~집에 쓰지 않는 전자제품이 있다고요? ‘그냥 쓰레기통에 버리지 뭐’라고 생각하면 절대 안 ... ...
김장철 영양 프로젝트 매운 맛 좀 찾아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전해진 뒤에 열대지역과 아열대 지역으로 빠르게 전파됐다. 고추는 17세기 이후에 여러 품
종
으로 나뉘어 인도, 헝가리, 아시아 지역에서 사랑받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이제 영양 만점 고추 먹고 기분 좋은 매운 맛을 즐겨 보자고요 ... ...
전설 속 여우가 돌아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2호
생물다양성 증진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정철운 (국립공원
종
복원기술원 여우복원팀장) 먹이사슬의 중간다리여우는 쥐나 메추리 같은 작은 동물들을 잡아먹어 개체수를 조절한다. 또 반대로 호랑이나 독수리 같은 큰 동물들에게 잡아먹혀 먹이를 제공한다.여우야, 앞으로 ... ...
새로운 가족을 발견한 보물섬, 독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래요. 지금까지 전문가들이 독도에서 발견한 생물
종
은 모두 640
종
이에요. 바람이 강하게 부는데다 식물이 자라기 힘든 바위로 이뤄져 있는 걸 생각하면 이렇게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 있다는 게 참 신기하죠.옆 나라가 너를 탐내는 이유는 무엇일까?저는 다양한 생물 외에도 ... ...
이전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