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중국 쿤밍(昆明) 행 직항은 서쪽을 향해 약 세 시간을 날아 도착한다. ‘곧 착륙한다’는 기내 방송이 나오면 비행 정보를 켜서 실시간으로 ... 중에서 멋진 식물 자원 연구자가 나오는 것도 기대해본다”고 덕담을 건내기도 했다.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 골뱅이 vs 우렁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이동하기 때문에 배에 다리가 달렸다는 뜻으로 ‘복족류’라고 불러요. 복족류 동물은 종류가 가장 많은 연체동물로 강과 연못, 바다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물레고둥과 큰구슬우렁이, 어떻게 구분할까?물레고둥과 큰구슬우렁이 모두 골뱅이라는 이름으로 요리에 들어가요. 하지만 ... ...
- 수학콘서트의 재미는 우리에게 맡겨라! 아빠와 아들수학동아 l2012년 12호
- 사과 2개, 점심에 사과 2개, 저녁에 사과 2개를 먹으면 어떻게 될까?김수영 : 아빠, 하루 종일 그것만 먹으라고?! 그럼 배고파 쓰러지지. 뚜비뚜바~♬.명성답게 개그 하나가 뚝딱 완성됐다. 수학도 개그처럼 즐겁고 유쾌하면 얼마나 좋을까? 수학공부를 하다가 어렵고 힘들다면, 아빠와 아들을 떠올려 ... ...
- 2012 여수 세계박람회에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관람 베스트3 라고잉~!1 신기한 해양생물이 가득한 아쿠아리움국내 최대 6030톤 수조에 300종 3만 4000마리의 해양생물을 만날 수 있어. 무시무시한 식인 물고기 피라냐 뿐만 아니라 러시아 흰고래와 바이칼 물범, 해마, 해룡처럼 세계적으로 희귀한 생물도 볼 수 있지.2 바다에서 펼쳐지는 환상의 세계 ... ...
- 수학쌤의 이중생활 영화를 꿈꾸다!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수학을 철저히 분리시켰어요. 그런데 어쩔 수 없이 시나리오에 묻어나더군요. 하루 종일 부딪히는 것이 수학과 학생들이니까요. 아직 영화화 된 작품은 없지만 제가 쓴 시나리오 중에는 수학을 주제로 한 작품이 있어요. 계속해서 시나리오를 쓰고 있으니 언젠가 영화로도 나오겠죠.슬 쩍 본인의 ... ...
-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최상위 포식자다. 아무르표범은 러시아 극동 지방에서 60~70여 마리가 남아있는 멸종위기종이다.중국 하얼빈동물원에서 들여온 아무르표범이 지난 2006년 서울대공원에서 새끼를 낳으면서 관심을 끌었지만 현재 복원 프로젝트는 진행되고 있지 않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여우야 여우야 ...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종은 약 170만에 불과하다(열대우림의 수많은 생물종은 정체도 모른 채 사라지고 있다). 멸종위기 동물 복원은 인간이 더욱 건강하게 다음 세대를 기약할 수 있는 첫걸음이다. 집 근처 국립공원에 따오기와 황새가 놀러 오고 곰과 여우가 눈치를 살피는 모습. 머릿속에 떠올리기만 해도 한번쯤 살고 ... ...
- 음습한 생물? 편견을 버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왕거미과, 깡충거미과, 무당거미과, 꼬마 거미과 등 이름도 친근한 대표적인 거미 20과 57종을 차근차근 소개하는 중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살면서 만날 가능성이 있는 거미는 거의 다 나온 것 같다. 전국을 다니며 직접 찍은 사진도 다채롭고, ‘자동차 전조등을 닮은 눈(검은날개무늬깡충거미)’, ... ...
- Part 2. 우리 이렇게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쌀쌀해지면 북쪽에서 반가운 손님들이 날아온다. 바로 겨울 철새다. 우리나라에는 400종이 넘는 철새가 계절별로 찾아온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가 죽지도 않고 또 오는 것처럼 새들도 매년 우리나라를 찾는다. 그러나 사라져버린 새들도 있다. 황새와 따오기다. 교원대 황새복원연구센터와 ...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개체수를 늘리고 적합한 방사지를 정하는 과정도 지난하다. 그렇지만 자연 상태에서 멸종위기 동물이 외부 위협에 견뎌 나갈 수 있도록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도록 돕는 과정은 시아마가 지적한 것처럼 ‘유전적으로 다른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또 다른 복원의 과정이 아닐까.▼관련기사를 ... ...
이전1771781791801811821831841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