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기원이 될 유기물도 들어있는지, 지구 에 충돌한다면 어떤 피해를 입힐지 등 연구할
거리
는 무궁무진하다. NASA의 차기 유인우주선 오리온 호가 소행성을 포획한 우주선과 만나 그곳에서 연구를 하거나,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돌아올 계획이다.달이나 화성 기지에서 사용할 물을 소행성에서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빼빼로데이에 저의 마음을 담은 필래를 추리에게 전달하기로 마음먹었어요. 10km
거리
에서도 웬만한 건 알 수 있지만, 전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었거든요. 추리 표면에 착륙해 구멍을 뚫고, 토양의 화학조성을 분석할 필래를 보낸 건 그래서예요. 바로 며칠 전 있었던 일이죠. 지난 10년간 64억km를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우유 양을 불렀습니다. 목을 살짝 덮으면서 끄트머리가 곱슬
거리
는 귀여운 단발입니다. 우유 양이 꿈꿨던 송혜교의 얼굴은 아니지만 썩 잘 어울렸습니다. 망했다고 계속 눈물을 글썽이는 우유에게 저는 위로랍시고 이런 말을 날렸답니다.“남들은 송혜교 단발하면 피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실제로 커튼의 아래와 위쪽은 밝기 차이가 거의 없다. 단지 빛이 광원과 관찰자의
거리
에 반비례하게 어두워지기 때문에 이렇게 보일 뿐이다.오로라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자. 태양에서 날아온 입자와 충돌해 에너지를 받은 산소와 질소에서는 무슨 일이 생길까. 원자는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밝을수록 동안이라고 느끼는 정도는 더욱 높아졌다. 카리스마는 눈과 눈썹사이의
거리
가 짧고 눈썹이 짙을수록 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카리스마는 동안이라고 느끼는 정도와는 반대로 피부색이 어둡고 얼굴의 골격이 두드러질수록 더욱 높아졌다. 또한 면도 흔적이 진할수록 카리스마를 강하게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발표했습니다. 야생코끼리는 거대한 모계 가족을 이뤄 먼
거리
를 이동하는데, 함께 여행하면서 먹을 것을 구하고 서로를 보호해줍니다. 각 코끼리는 더 작은 무리로 나눠지거나 혼자 무리에서 떨어지더라도 서로 지나간 경로를 파악하면서 따라가야 하지요. 이 때 후각이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지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이 감소했다. 특히 두 지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지점 사이
거리
의 거듭제곱에 비례해 줄어들었다. 이것은 난류를 다루는 유체역학의 대표적인 법칙인 ‘콜모고로프 척도’와 같다. 더 놀라운 건 고흐가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웠을 때 그린 그림일수록 콜모고로프★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싸울 때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더 활발하다거나 하는 장점도 있었다. 덩치 큰 새는 장
거리
이동을 위해 몸에 지방을 축적하는 데 최적화돼 있지만, 작은 새는 그럴 필요가 없어 싸움에 유리했다. 이 연구는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 9월 24일자에 실렸다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해열제를 먹인다”고 밝혔다. 발열공포라고 정의한 데서 알 수 있듯, 이런 우려는 사실과
거리
가 멀다. 대부분의 부모가 해열제를 잘못 쓰고 있다.이런 발열공포는 어디에서 유래된 걸까. 김도균 서울대 응급의학과 교수는 “열에 대한 공포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인간이 무방비로 당할 수밖에 없던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이디어가 탄생했다.아베 한계는 빛의 회절 때문에 생긴다.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거리
(대략 200nm)보다 가까이 있는 두 물체에서 각각 출발한 가시광선은 좁은 대물렌즈를 통과하며 회절을 일으켜 보강·상쇄 간섭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두 물체를 구분해서 볼 수 없다. 헬은 레이저 빔을 두 번 쏴서 ... ...
이전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