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하지만 수학계에서는 컴퓨터가 수학 명제를 증명한 최초의 일이었기 때문에 큰 논란
거리
가 됐다. 그래도 최근에는 ‘컴퓨터가 증명에 성공했다’는 사실만큼은 인정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컴퓨터의 증명을 수학자가 다시 검증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수학자들 사이에서는 계속 ‘4색 문제’로 남아 ... ...
진짜 동물과 똑 닮은 동물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원리로 스프링을 늘이면서 점프를 하지요. 나는 한 번 점프할 때마다 높이 약 40㎝,
거리
약 0.8m나 뛸 수 있답니다.진짜 물고기처럼 부드럽게 헤엄치는 물고기로봇도 자기소개를 해 볼래?나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과학자들이 개발한 로봇이에요. 실리콘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실제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레이놀즈 박사는 “배럴 해파리에게는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과 먼
거리
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을 탐지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를 기존보다 훨씬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엄폐는 행성 간 엄폐에 비해서는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달은 지구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
에서 지구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달과 행성이 일렬로 늘어서면 가까이 있는 달이 멀리 있는 행성의 앞을 지나가며 가릴 수밖에 없다.이번 토성 엄폐 현상은 9월 28일 낮 12시에 시작된다. 낮이라 맨눈으로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수학과 이광연 교수는 “당시 도훈도는 산학자였다”면서, “화포를 쏘기 위해 사정
거리
를 계산하고 전투에 필요한 계산을 도훈도가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에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비결에는 수학과 과학의 원리가 ... ...
5억 년 전 ‘지네 동물’, 뒤늦게 족보 찾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를 바탕으로 이 동물이 유조동물과 공통 조상을 갖는 친척이고, 절지동물과는
거리
가 멀다고 결론지었다. 할루키게니아는 5억 년만에 ‘족보’를 찾은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8월 17일자에 실렸다 ... ...
차세대 레이저 가속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전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속기에 비해 약 1000배 정도 강해서 하전입자들을 아주 짧은
거리
에서 고에너지로 가속할 수 있는 것이다.이와 같은 가속 방식은 이론적으로는 간단하지만 초기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고출력 레이저를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레이저 대신 전자빔을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비행한다. 마찬가지로 군집 로봇도 한 대의 리더로봇을 중심으로 추종로봇들이 일 정한
거리
와 각도를 유지하면서 움직인다. 이 기법을 적 용하면 로봇 대수를 무한정으로 늘리면서 편대를 유지 할 수 있다. 또 알고리듬의 성능과 안정성을 수학적으 로 증명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필자가 속한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온을 포획할 수도 있고, 이들 사이에 얽힘(두 양자의 정보가 서로 관련이 있는 상태로
거리
와 상관이 없다) 상태를 걸어주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이온트랩은 양자를 아주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되도록 교란에 잘 견디며 오래 유지하는 양자를 만드는 일은 양자컴퓨터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답이 있으니까요."➊ 연구원들이 머문 마을의 입구 어귀까지 내려온 사향소 무리.➋ 사진
거리
로는 훌륭하지만 야생곰은 연구팀에게 공포의 대상이다.➌ 현장에서 가장 괴로운 것은 모기떼다. 평소에는 방충모자를 쓴다.➍ 오랜만에 맑은 하늘이 보여 기념촬영 한 컷. 오지에서 연구하려면 자주 ... ...
이전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