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방법에는 스마트폰을 아예 못 쓰게 하는 '물리적 제지', 특정 상황에서 못 쓰게 하는 '거리 두기'. 운동 같은 다른 활동으로 생각나지 않게 하는 '주의 분산', 자신의 결심을 가족이나 다른 사람에게 알려 이들이 자신의 노력을 돕게 하는 '목표를 타인에게 알리기', 매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적으며 ... ...
- Part 2 - Moon Story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 기회에 태양계 위성의 다채로움에 새롭게 눈 떠 보자. 다양한 위성이 말도 안 되는 먼 거리에서 복잡한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고 있다는 사실에 놀랄 것이다.왜 가스형 행성만 표시했나화성의 위성은 포획을 통해 얻었지만, 굳이 불규칙위성이라고 부르지는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화성의 위성은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b의 관측 자료다. 케플러-22b는 태양과 유 사한 별 주변의 골디락스 영역(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 영 역으로, 생명체가 탄생하기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는 영 역)에 있는 행성으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행성이 지구의 약 2.5배로 다소 크기 때문에 암석 이 아니라 기체로 돼 있을 ... ...
- BRIDGE - ELO랭킹 적용하면 한국 16강 확률 높아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쓰이는 수식들을 가지고 왔다. 선수들의 공 점유율, 패스와 드리블 및 슈팅 성공률, 이동거리와 기후, 휴식시간까지 변수로 고려하며 정교한 시뮬레이션을 발전시켜나갔다. 수백 회에서 수만 회까지 계산을 반복한 다음 평균치를 구해 정확도를 높이면서.FIFA랭킹에 문제 많아하지만 아직 멀었다.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사정이 같지는 않다. 미국은 땅이 넓어 아주 복잡한 도심만 아니라면 집집마다 상당한 거리가 있다. GPS신호를 이용해 ‘대강’ 배달해도 집 근처에 확실히 물건을 가져다 줄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다닥다닥 붙은 아파트나 연립주택이 많다. 하늘을 날아간 드론이 배달을 해야 할 창문 위치까지 ... ...
- 응답하라! 아빠 엄마 어렸을 적에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가져가면 하루 종일 실컷 만화책을 볼 수 있었다니 정말 천국이 따로 없죠? 추억의 먹을거리 달고나 쫀드기100원으로 하루 종일 놀 수 있었다니 아빠, 엄마가 정말 부러워~. 킁킁! 어디서 달콤한 냄새가 솔솔 나는데.... 무슨 냄새지?킁킁! 그러게 사탕 냄새 같기도 하고, 초콜릿 냄새 같기도 한데.... 어?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때문에 혼란스럽고 불안정한 요동이 주기적으로 반복됐고, 이에 따라 특정한 기울기와 거리에 있는 위성만 남고 나머지는 밖으로 튕겨 나갔다(시뮬레이션 결과 천문학에서는 눈깜짝할 사이인 120년 정도만에 튕겨나갔다). 그 결과 불규칙위성은 특정 영역과 기울기 영역에 집중적으로 남게 됐다.현재 ...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잘 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몸 속에서 실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세포라고 보고, 단거리 전자기파가 사람의 세포를 통해 잘 전달되도록 구조를 설계한 뒤 충전이 되는지 실험했다.그 결과, 새 심장박동기는 피부에 붙인 신용카드만한 전원공급장치만으로 잘 작동했다. 배터리를 뺀 심장박동기는 겨우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개발했다. 최초의 투명망토는 10겹의 성벽 모양 최초의 투명망토는 해리 포터의 망토와는 거리가 멀었다. 사라지게 한 대상도 사람이 아니라 실린더 모양에 너비 5cm, 높이 1cm의 작은 구리관이었다. 연구팀은 구리관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 관을 중심으로 주변에 10장의 메타물질 고리를 성벽처럼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관측 천문학자인 이강환 박사는 빅뱅 이후 가속 팽창하고 있는 우주와 관련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인플레이션 우주론, 암흑에너지 등을 과학자들의 실제 관측 경험담과 함께 풀어낸다. 중간 중간 삽입된 실제 자료와 그래프는 글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을 직관적으로 ... ...
이전1811821831841851861871881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