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2003년 발견)다. 태양에서 행성 궤도의 끝(해왕성 궤도)까지의
거리
보다 3배 이상 먼
거리
를 긴 타원 궤도로 돌며, 지름은 1000km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명왕성보다는 훨씬 작다). 하지만 올해 3월 ‘네이처’에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발표됐다. ‘2012VP113’이라는 이름의 소천체는 2012년 처음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엄폐는 행성 간 엄폐에 비해서는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달은 지구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
에서 지구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달과 행성이 일렬로 늘어서면 가까이 있는 달이 멀리 있는 행성의 앞을 지나가며 가릴 수밖에 없다.이번 토성 엄폐 현상은 9월 28일 낮 12시에 시작된다. 낮이라 맨눈으로 ... ...
[화보] 도시가 잠든 사이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전 머리 속으로 구상한 그림을 재빠르게 허공에 그려 표현해야 한다. 중간에 자칫 머뭇
거리
다가는 처음부터 다시 그려야 하기 때문에 미리 구상한 대로 한 번에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은 마치 오일러가 증명한 한붓그리기와 비슷하다고 볼 수도 있다.라이프 그래피티의 시초는 20세기 천재 ... ...
[포토뉴스] 수학 패턴 따라 먹이 찾는 배럴 해파리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레이놀즈 박사는 “배럴 해파리에게는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과 먼
거리
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을 탐지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를 기존보다 훨씬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수학과 이광연 교수는 “당시 도훈도는 산학자였다”면서, “화포를 쏘기 위해 사정
거리
를 계산하고 전투에 필요한 계산을 도훈도가 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에서 수적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비결에는 수학과 과학의 원리가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후변화. 교통의 발달과 도시화. 이런 문제 덕분에 우리 바이러스와 사람들 사이의
거리
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지. 나뿐 아니라 여기 있는 모든 바이러스들이 곧 사람을 만난다는 생각에 설레고 있어(두근두근). 앞으로 자주 만나게 될 내 친구들을 다음 장에 소개해 놓았어. 네가 이 편지를 읽을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시간에서 길면 수 일이다. 지구 상공에서 ISS까지 직선
거리
는 350km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
에 불과하지만, ISS가 초속 8km로 지구 주위를 돌면서 계속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발사부터 귀환까지는 8일에서 길게는 15일이 될 전망이다.드래곤V2최초 민간 유인우주선2002년 엘론 머스크가 설립한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상황에서도 태양에 삼켜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태양이 적색거성이 되면 태양과의
거리
가 가까워져서 ‘원조’ 뜨거운 목성으로 다시 태어날 수는 있다. 태양과 목성처럼 대부분의 별과 행성은 이렇게 마지막 길도 같이 하게 된다 ... ...
5억 년 전 ‘지네 동물’, 뒤늦게 족보 찾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이를 바탕으로 이 동물이 유조동물과 공통 조상을 갖는 친척이고, 절지동물과는
거리
가 멀다고 결론지었다. 할루키게니아는 5억 년만에 ‘족보’를 찾은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8월 17일자에 실렸다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위원장은 “내가 선수로 뛰던 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일본은 단
거리
에서 우리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올해 일본의 고등학생이 10초 1의 기록을 세웠다. 한국 최고기록은 여기에도 0.1 초 이상 뒤쳐져 있다. 비결은 꾸준한 투자와 과학적 훈련이다. 백 위원장은 “우리나라 ... ...
이전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