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류
부문
낱개
가닥
가락
유형
양식
d라이브러리
"
갈래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3. 대통일장 이론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199606
보즈법칙이 아닌 제3의 통계법칙을 기술하는 이론으로 2차원물리학에서 시작됐으나 여러
갈래
의 새로운 확장이 시도되고 있어 재미있는 연구분야가 되고 있다.또한 이 분야에서는 2년 전 이른바 '보즈응집'이라는 가능성이 와이만에 의해 실험적으로 확인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 현상에 흥미를 ... ...
옻칠 황칠
과학동아
l
199507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다. 이 나무의 특징은 잎이 세
갈래
인 삼지창 모양과 다섯
갈래
모양, 넓다란 타원형 모양의 세가지가 있다는 점이다. 한 나무에 세 종류의 잎이 달려 있어 희귀한 나무로 여겨진다.황칠나무에서 채취되는 황칠은 모든 재료의 백골에 칠할 수 있지만 바탕색이 없는 것이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06
할당추출법)이 사용되기도 한다.모집단을 전부터 알고 있는 비율에 따라 여러
갈래
의 그룹으로 나누어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그룹으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주관이 개입하거나 오류가 일어날 확률이 상대적으로 크다.너무 적은 표본을 쓰면 통계 결과는 엉터리가 되기 쉽다. 가령 ... ...
1 PC, 생활필수품으로
과학동아
l
199502
사용법만 익히면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법도 저절로 익혀지게 된다. 아무리 여러
갈래
의 프로그램이 나와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앞으로 PC는 다섯살바기 어린애부터 고희를 넘긴 노인들에 이르기까지 가전제품처럼 손쉽게 다룰 수 있게 될 것이다. 가정의 컴퓨터는 사람이 ... ...
한글 왜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410
닿소리 글자의 모양은 홀소리 글자의 모양과 아주 유형이 다를 뿐만 아니라, 이 큰 두
갈래
는 낱글자가 제 모양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잘 조화돼 있다. 이처럼 멋과 뜻을 갖춘 합리적인 낱소리 글자는 세상에 다시 없다"고 한글을 극찬했다. 즉 한글은 글자의 발전 단계로 볼 때 음소글자의 차원을 ... ...
2. 두 발로 서고 석기 쓰며 사람형태로
과학동아
l
199405
갈라서서 이들은 모두 절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아파렌시스가 이 두 가지
갈래
의 공통조상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그런데 아프리카누스와 에이치오피쿠스들은 약 3백만년 전 이후에도 호모와 공존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그렇다면 인류가 시작된 다음에도 어떻게 각기 다른 두 종류의 ... ...
생물- 지표종 이용, 환경오염 정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04
물을 거슬러 헤엄치며 돌아다닌다. 피라미류는 엄격히 동물학적으로 따지면 다시 여러
갈래
로 분류되지만 이들 대부분은 맑은 물이 아니면 살지 못한다. 다시 말해 2급수만 되어도 현저하게 줄어든다.송사리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깨끗한 물이 아니면 송사리는 생존하지 못한다. 모래무지(잉어과의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01
조셉 포드에 따르면 지금 넓은 영역에 걸쳐 과학의 혁명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큰
갈래
중 하나가 이른바 자연의 복잡성(complexity) 연구라고 한다. 자연현상에서 흔히 관찰되는 불규칙성 및 복잡성은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잘 이해되지 않은 현상으로 남아 있었으나 최근 카오스 과학을 중심으로 한 ... ...
정신분열증은 지각장애, 우울증은 감정기능 불균형서 비롯
과학동아
l
199310
인지기능의 장애가 두드러진 질환을 말하는 것이다.임상적으로 내과영역의 한
갈래
로서 왜곡된 인격 및 이로 인한 비정상적인 행동을 다루는 현대정신의학의 연구에, 뇌연구가 기본이 되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생물학적 뇌연구는 19세기 브로카(Broca)와 20세기초 펜필드(Penfield)가 뇌의 구조와 ... ...
세
갈래
로 갈라진 보름달만한 삼렬성운
과학동아
l
199309
산광성운으로서 삼렬성운이라 불린다. 중심으로 부터 나오는 암흑선에 의해 성운이 세
갈래
로 찢겨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성운이 밝은 이유 중의 하나는 중심에 6.9등급과 8.0등급의 별 두개로 이루어진 다중성 HN40이 있기 때문이다. 이 다중성은 10.6초의 분리각과 2백12도의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