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류
부문
낱개
가닥
가락
유형
양식
d라이브러리
"
갈래
"(으)로 총 225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로컴퓨터의 베일을 벗긴다(상) 인공지능연구의 돌파구
과학동아
l
199003
인간과 꼭같을 필요는 없다.인공지능의 갈림길역사적으로 인공지능의 연구는 두
갈래
의 흐름이 있었다. 그 하나는 인간의 사고의 본질은 기호조작이라는 가설에 기초한 것이요, 다른 하나는 '기호처리가 아닌 패턴처리가 인간의 사고의 본질이다'라는 가설에 따른 연구다. 전자는 정보처리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12
알맞게 진화하면서 갈라져 수많은 종류의 공룡이 생겼을 것이다.이와 같이 생물이 여러
갈래
의 서로 다른 무리로 갈라져 나가는 현상을 적응방산(適應放散)이라 한다.운석에 의해 멸종하기도동물 무리들의 흥망성쇠를 연구하다 보면 매우 주목할 만한 사실을 알게 된다. 정도의 차는 있지만, 어느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11
만주)을 토대로 흥성했던 강대한 나라였다. 기원전 37년에 주몽(朱蒙)이 이끈 부여족의 한
갈래
가 압록강지류 동가강(佟佳江·渾江)유역 졸본(卒本)에 처음 나라를 세웠다.일찍 기마민족문화를 받아들여 일어선 고구려의 역사는 그 세력이 안정되기까지 한족(漢族)과의 싸움이 끊임없이 계속된 ... ...
사마귀 치료, 냉동요법시대로
과학동아
l
198911
칼로 살짝 베 보면 사마귀인 경우에는 출혈이 있다.사마귀를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갈래
로 나눌 수 있다. 화학요법과 물리요법이 그것이다.산(酸) 포도필린수지 칸타리딘 4%포르말린 등을 활용하는 화학요법은 부작용이 크고 재발이 잦아 점차 구시대의 유물로 취급되고 있다. 반면 전기소작법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10
평균 경사 10˚정도(8도~12도)의 비교적 완만한 오르막길을 약 20㎞올라가면, 비포장길은 세
갈래
로 나눠진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부터 백두산의 신비롭고 웅장한 자태와 장백폭포가 멀리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서서히 그 장엄한 모습을 드러낸다.해발 1천8백m의 삼거리에서 왼쪽으로 약 10㎞ 올라가면 ... ...
공업디자인
과학동아
l
198909
풍요로움과 만족을 주는 역할을 한다. 디자인도 각기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여러
갈래
로 세분되지만 결국 모든 디자인은 인간과 연결된다. 인간을 떠나서는 디자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참」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요즘 매스컴에서는 한참 디자인의 중요성을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06
상노대도 연대도 오산리 등이 후보지역) 사람의 머리털을 전자현미경으로 분류, 사람의
갈래
를 가려내는 작업도 하고 있다(석장리).이같은 연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게다가 모두 학자 개인의 노력으로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우리 선사문화의 발굴과 보존에 대해서 사회의 관심이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05
카마우곶 까지는 델타가 펼쳐진다. 야자나무가 무성하고 비옥한 진흙을 실어나르는 많은
갈래
의 강이 흐르고 있고 여러가지 신흥종교의 본산과 산적들의 은신처도 있는 곳이다.메콩 델타는 신비로운 지대다. 어디에서 부터가 바다이며 어디까지가 육지인가를 분간할 수 없다. 그런 혼돈상태속에서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03
열대의 삼림을 벌채한 뒤 생긴 개간지에서 번창하기 때문이다.온실효과는 이렇게 여러
갈래
의 인간의 기본활동의 결과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진행을 멈추게 할 방법은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그 진행속도는 늦춰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 인류가 당면한 가장 ... ...
금강산
과학동아
l
198903
되어 있는데 이 부근에서 고성 부근의 삼각주에 주목하기 바란다. 고성 부근에서 3~4
갈래
로 갈라진 남강 하구의 분류는 고성 삼각주를 형성하였는데, 이 삼각주가 생기기 전에는 그곳이 얕은 바다였다. 그러므로 해금강은 그때 섬이었다. 금강산에서 흘러내린 암석의 부스러기가 고성만을 메워서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