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음질
달음박질
뜀박질
달리기
running
d라이브러리
"
러닝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안의 달리기 본능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생각해보면 우리는 모두 타고난 달리기 주자인 때가 있었다. ‘제발 뛰지 말라’는 어른들의 잔소리를 매일 같이 듣던, 그럴수록 더 신나게 달리던 시절 말이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달리기는 어색한 운동이 돼버렸다. 시간이 없어서, 몸이 무거워서, 그냥 싫어서… 달리지 않을 이유만 100가지가 생 ... ...
[수학미술관]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 그림은 컴퓨터로, 서명은 수학식으로!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세 명의 연구원이 주축인 단체입니다. 오비어스는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이라는 딥
러닝
알고리듬을 이용해 AI 화가를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이 AI 화가에 14~20세기 그림 1만 5000여 점을 학습시켜 경매에 나온 그림을 포함해 여러 점의 작품을 만들었지요. GAN은 ‘구글 브레인’에서 기계학습을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위해서 눈에 들어오는 빛 정보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지난 호에서 사물 인식과 딥
러닝
(Deep learning)을 다룰 때 로봇의 비전 인식 방법을 알아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그런데 빛이 없는 곳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인간은 빛 외에도 공기의 움직임인 파동을 파악하거나 공기 중에 섞여있는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달릴 수 있다면 정말 놀라울 겁니다. 올림픽 선수에게 달리기 수업을 받거나, 전문가에게
러닝
패션을 조언 받는 것도 재밌겠죠. In the far future we would like for design to address the single biggest limiting factor to the run: personal motivation.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겁니다. 2016년 서울에서 이세돌 9단이 인공지능 ‘알파고’와의 대국에서 패하면서 딥
러닝
이라는 용어가 많이 알려졌죠.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이 사물을 잘 알아보게 만들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필요한 일은 인공지능 프로그램에게 열심히 사진 데이터를 입력해 주는 것입니다. 비록 아직까지는 ... ...
거짓말에 속지 않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즉, 등장인물이 눈을 깜빡이지 않는다면 조작된 영상으로 추측할 수 있지요. 이렇게 딥
러닝
이 만든 영상이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특별한 실수를 ‘아티팩트’라고 불러요. 얼굴을 만드는 적대적 생성망이 배경이나 머리카락을 이상하게 그리는 것도 아티팩트에 속하죠. 연세대학교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팽창한 탓에 지구까지 남은 거리가 점점 늘어났기 때문이다. 엄청난 속도의 트레드밀(
러닝
머신) 위에서 열심히 뛰어도 앞으로 나아가기 힘든 것처럼 빛이 아무리 제 속도를 내도 지구와 가까워지지 않았다. 마침내 138억 년을 걸려 지구에 도착했을 때, 그 빛이 뒤돌아보자 출발점은 지구에서 465억 ... ...
거짓말 어디까지 발전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사진에 다른 사람의 얼굴을 적대적 생성망 기법으로 합쳐 만들었답니다. 이렇게 딥
러닝
기술로 가짜 영상을 만드는 기법을 ‘딥페이크(deep fake)’라고 해요. 버즈피드 측은 딥페이크 영상으로 만들어진 가짜 뉴스의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해 이 영상을 만들었다고 밝혔어요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지식을 그때 배운다고 생각해요. 구체적으로 꼽자면 ‘미분’과 ‘행렬’이 중요하죠. 딥
러닝
에서 학습이라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말하면 변수가 여러 개인 다변수 함수를 미분한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다변수 함수의 미분은 결국 행과 열로 배열된 수인 행렬을 계산하는 것이라서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3D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됐다). 그래서 다양한 이미지를 통계 처리해 학습하는 딥
러닝
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비주얼 컴퓨팅 기술 분야 기업인 엔비디아는 최근 CPU와 GPU가 통합된 ‘자비에(Xavier)’ 반도체를 개발하고 자율주행자동차에 적용할 계획이다. 자비에 칩에는 512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