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체"(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체 전체로 단백질 신호를 전달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자신보다 수십 조 배 이상 큰 인체라는 우주로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셈이다. 이들의 신호를 받아 활성화된 자연살해세포는 세포막과 세포질을 해체하는 단백질(효소)을 내뿜는 등 선천 면역반응 단계에서 다양한 항원을 무차별적으로 ...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천연두바이러스에 대한 후천 면역이 생성될 수 있었다. 교차 면역성은 서로 다른 항원을 인체가 동일한 종류로 인식해 면역을 획득하는 성질을 말한다.일부 백신으로 얻는 후천 면역은 평생 유지된다. 어렸을 때 한 차례 접종한 백신이 평생토록 예방 효과를 내는 셈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단백질 백신은 항원을 직접 주입하는 데 비해, 핵산 백신은 핵산이 세포 내로 들어가 인체에서 항원을 직접 생산하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핵산 백신의 개발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도 한계다. 백신의 작동 원리만 보면 예상되는 부작용은 적지만,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질환 등을 유발하는 써코바이러스처럼 유전물질이 단일가닥 DNA인 바이러스(Monodnaviria)와, 인체 피부에 수포(물집)를 발생시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처럼 이중가닥 DNA를 갖는 바이러스(Duplodnaviria)가 있다. 그리고 유전물질로 RNA를 갖는 바이러스(Riboviria)에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도를 감염시킨다.인체 내부로 깊숙이 들어가지 않고 자손을 만들어낸 뒤 재빨리 다른 인체로 옮겨간다. 이는 무증상 감염자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에서 증상이 나타나게 만든 뒤 다른 숙주로 이동하기 때문에 숙주 입장에서는 증상을 보고 대처할 시간을 벌 ...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것이 가능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이 기관이 없다. 이후 수십 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인체에서 항체를 만드는 세포는 태어난 직후 8~9주 동안은 간에서, 그 이후에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뒤 성장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세포는 윤활주머니의 첫 글자를 따서 B림프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제거했거나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주입한다. 이런 백신을 통해서 인체가 후천적으로 면역력을 획득하면, 이후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백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감염병 ...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백신은 세포 매개 면역반응이 아닌 항체 매개 면역반응만 유도한다. 불활성화 항원이 인체에 주입되면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T림프구는 거의 반응하지 않고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가 우선 반응한다. 그래서 세포 외액에 포함된 항체나 보체, 단백질 등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체 매개 ...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을 예방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차이가 있다면 백신은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전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해 감염 이후 적극적으로 항체를 생산하게 만들어 감염병을 예방한다. 반면 항체치료제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주입한다. 항체치료제는 ...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는 단점이 있다.레트로바이러스는 1980년대 최초의 바이러스 벡터로 개발됐고, 1990년 인체를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임상시험에 활용되면서 유전자 치료의 실현을 한 걸음 앞당겼다. 하지만 1999년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투여한 환자가 임상시험 중 사망하고, 2002년에는 레트로바이러스를 활용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