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체"(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학 발전에 기여한 바에 비하면 너무 늦은 수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도네가와는 인체가 다양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적 원리를 밝혔다. 항원에 해당하는 병원체가 몸속에 침입하면, 우리 몸속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성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마치 열쇠와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곧바로 공격하고 병원체를 죽인다. 이를 선천 면역이라고 하는데, 병원체 감염 초기에 인체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어 기작이다.1970년대까지 항체를 기반으로 한 후천 면역은 많은 부분이 밝혀져 있었지만, T림프구가 감염 초기에 어떻게 정상 세포는 건드리지 않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만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을 예방하는 원리와 유사하다. 차이가 있다면 백신은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전 인체의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해 감염 이후 적극적으로 항체를 생산하게 만들어 감염병을 예방한다. 반면 항체치료제는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바이러스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중화항체를 주입한다. 항체치료제는 ... ...
- 코로나19 팩트체크┃누가 인간에게 옮겼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세포 수용체인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에 결합해 인체에 침투한다. 연구팀은 천산갑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전파될 수는 없지만,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특정 결합 부위가 박쥐 코로나바이러스에 전달되며 ACE2에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질환 등을 유발하는 써코바이러스처럼 유전물질이 단일가닥 DNA인 바이러스(Monodnaviria)와, 인체 피부에 수포(물집)를 발생시키는 헤르페스바이러스처럼 이중가닥 DNA를 갖는 바이러스(Duplodnaviria)가 있다. 그리고 유전물질로 RNA를 갖는 바이러스(Riboviria)에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이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도를 감염시킨다.인체 내부로 깊숙이 들어가지 않고 자손을 만들어낸 뒤 재빨리 다른 인체로 옮겨간다. 이는 무증상 감염자가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숙주의 몸에서 증상이 나타나게 만든 뒤 다른 숙주로 이동하기 때문에 숙주 입장에서는 증상을 보고 대처할 시간을 벌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것이 가능했다. 그런데 인간에게는 이 기관이 없다. 이후 수십 년에 걸친 연구를 통해 인체에서 항체를 만드는 세포는 태어난 직후 8~9주 동안은 간에서, 그 이후에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뒤 성장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 세포는 윤활주머니의 첫 글자를 따서 B림프구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질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제거했거나 약화시킨 바이러스를 주입한다. 이런 백신을 통해서 인체가 후천적으로 면역력을 획득하면, 이후 바이러스에 노출되더라도 병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 감염병 확산을 막는 데 백신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감염병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백신은 세포 매개 면역반응이 아닌 항체 매개 면역반응만 유도한다. 불활성화 항원이 인체에 주입되면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T림프구는 거의 반응하지 않고 항체를 생성하는 B림프구가 우선 반응한다. 그래서 세포 외액에 포함된 항체나 보체, 단백질 등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항체 매개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긴급한 경우 등 특별한 사례를 제외하면, 이 모든 단계를 통과해야만 비로소 백신을 인체에 접종할 수 있다. 안전성과 효능을 두고 논란이 일었던 대표적인 사례는 신종플루 백신이다. 일부 인플루엔자는 이미 백신이 개발된, 인류에게 그다지 치명적이지 않은 질병이었다. 하지만 동물이 가진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