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로"(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신풍초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개념들이 등장하거든요.먼저 ‘웜홀’은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연결하는 통로로, 종종 우주의 시간과 공간의 벽에 난 구멍에 비유돼요. 지난해 개봉한 영화 에서 이 웜홀을 환상적으로 묘사해 큰 관심을 모았지요.한편, ‘Fractal(프랙탈)’은 ‘작은 구조가 전체구조와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끊으라는 신호를 보냅니다. 신호가 내려지면 뉴트로필들은 해로운 물질을 내보내던 통로를 닫고, 자신의 몸속에 그 물질을 풀어 자살을 합니다.(손 대표와 사회자 슬금슬금 무대 밖으로 나간다. 무대엔 뉴트로필만 서있다)현대 면역학의 역사는 100년이 넘지만, 그 동안은 개별적인 면역 세포의 ... ...
- [재미] 마왕의 탑-1 화 탑에 갇힌 단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구석에 계단이 보였다.“저 계단이 탑 꼭대기로 갈 수 있는 통로인가?”위로 올라갈 통로를 찾던 단의 눈에 감옥에 갇혀 있는 한 남자가 들어왔다.“누…, 누구시죠?”감옥 구석에 체념한 듯 앉아있던 남자는 단의 목소리에 헐레벌떡 창살 앞으로 달려와서 말했다.“부탁이야. 나를 좀 구해줘! 여기서 ... ...
- [숲 이야기 하나]수목원 나무들의 겨울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풍경 중 하나지요.낙엽이 지는 나무들은 조직이 약한 잎들을 모두 떨구고 양분의 이동통로를 차단해 버린 채 겨울을 나요. 그렇다면 소나무의 푸른 잎은 추운 겨울을 어떻게 견뎌내는 것일까요?사실 겨울을 나는 게 어렵기는 소나무 같은 침엽수들도 마찬가지랍니다. 그래서 우리 눈에는 잘 띄지 ... ...
- 빛으로 꿈꾸다! All Light! All Right!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웜홀(wormhole, 벌레구멍)은 우주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가장 빨리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말해. 벌레가 파먹은 구멍을 통해 가면 사과 표면을 기어가는 것보다 빨리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착안해 지은 이름이란다. 웜홀은 아직 존재가 확인되지 않은 수학적인 이론이라고 해. 웜홀이 실제로 있다면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수 있고, 구에 얹혀 있는 가는 막대기를 통해서만 나갈 수 있지요. 하지만 가는 막대기의 통로가 워낙 좁아서 빛은 대부분 빠져나오지 못하고 구 안에 갇힌답니다. 이 구조체로 만든 얇은 막은 평균 98%의 높은 빛 흡수율을 보였지요. 유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물질은 많은 양의 태양광을 흡수해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중 입학 전에 졸업평균연한, 장학금·일자리,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정보를 공식적인 통로(홈페이지 등)로 충분히 얻은 비율은 20% 이하였다(Plus 참조). 대부분의 랩은 연구주제·연구실적·구성원 등 연구와 관련된 정보만 공개하고 있다. 학생의 처우나 대우와 관련한 정보가 있을 리 없다.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비롯한 SF영화 속 단골손님이다. 이론적으로 웜홀은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이어주는 통로로, 블랙홀이 아주 빠른 속도로 회전할 때 만 생긴다. 영화에서는 우주 벽에 시커먼 구멍이 뚫려 있는 모습으로 표현한다.과학자들은 사과의 좌우에 점을 찍고 벌레가 한 점에서 다른 점으로 기어가는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서로 연결할 때 혈관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랩 온어 칩을 혈관이 복도(통로)처럼 연결된 ‘아파트’에 비유했다. 그는 “작은 암 조직만 보더라도 암 세포가 있고, 관련된 면역 세포가 있고, 아교세포, 혈관세포 등이 마치 아파트 주민처럼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다”며 “각 집에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낮 시간 동안에 쉴 수 있는 최상의 장소지요. 즉, 농촌의 배수로는 단지 물이 지나가는 통로가 아니라 농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해왔답니다.그런데 최근에는 논 근처의 배수로가 대부분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있어요. 콘크리트 배수로는 비 온 직후를 빼곤 메말라 있어서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