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로"(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요. 그리고 내 정보가 게이트웨이를 지나 서버까지 가는 기존의 통로 대신 더 안전한 길로 돌아가는 방법(SDN보안)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답니다.닥터 그랜마가 설정한 정보 등급1등급 (초특급 비밀) 키, 몸무게, 심장박동수2등급 (중간급 비밀) 내가 가진 초코도넛 수3등급 ... ...
- [Hot Issue] 야동, 이제 웹하드엔 없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전 세계 야동을 모아놓은 슈퍼컴퓨터’. KTX를 타고 지란지교소프트 대전본사로 향하는 길에 상상했던 장면이다. 지란지교소프트는 음란물 필터링 프 ... 받는 사람도, 필터링하고 법을 만드는 사람도 알고 있다. 다만 앞으로 음란물을 접할 수 있는 통로가 줄어들 것이라는 점은 확실하다 ... ...
- [Life & Tech] 트랜스포머 엘리베이터가 온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움직이는 모터)를 설치해 수평․수직방향으로 갈 수 있게 한 것 같다”고 말했다.한 통로에 한 대밖에 못 다니는 기존 승강기에 비해 확실히 에너지 효율이 좋다. 이 회사에 따르면 건물 내 승강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대 50% 줄어들고, 승강기가 움직이는 거리도 50% 줄어든다. 동시에 여러 대가 다닐 ...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탐사하라!화산은 우리가 직접 보지 못하는 지구 속의 물질과 구조를 보여 주는 중요한 통로예요. 하지만 시속 수백 킬로미터의 속도로 쓸고 내려오는 화산쇄설물과 태양빛을 차단해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화산재, 뜨거운 용암 등 무서운 물질을 잔뜩 내뱉어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기도 해요. 그래서 ... ...
- [생활] 사물과 대화하는 세상, 사물인터넷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대화할 때 영어를 사용하는 것처럼 사물끼리 대화를 할 때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하다.사물인터넷에서 만국 공통어는 ‘전자 신호’다. 정보가 전자 신호로 변환되면, 센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 기술과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연결해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농도를 조절하는 착한 단백질이 붙어 있는데 에볼라의 당 단백질은 이 단백질을 속여 통로로 활용합니다. 사기꾼인 셈이죠.에볼라의 유전정보 즉, RNA는 인간세포 속에 들어가서 ‘새끼’ 에볼라를 만듭니다. 자신과 똑같은 바이러스 RNA와 껍질 단백질을 만드는 거죠. 에볼라는 이 과정이 다른 ...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저항 없이 흐르는 물질이다.미래 핵융합장치를 꿈꾸다!“우와~! 거대한 UFO다!”미로 같은 통로를 지나자 케이스타가 모습을 드러냈어요. 케이스타를 마주한 명예기자들이 탄성을 질렀지요. 지름 약 10m, 높이는 6m에 달하는 크기였는데, 실제로 본 케이스타는 훨씬 크고 웅장해 보였어요. 은빛으로 ... ...
- 기침 VS 재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신나래(서울 미래초 4)기침기침은 가스, 세균 같은 이물질이 공기가 오가는 몸속 통로인 기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한 몸의 중요한 방어 작용이에요. 이미 기도로 들어온 이물질을 배출하기도 하고요. 일반적으로 기침은 기도, 목 안쪽에 숨을 쉬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두’, 코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내뱉는 게 있을 수 있다. 이게 ‘화이트홀’이다. 그리고 블랙홀과 화이트홀을 이어주는 통로가 ‘웜홀’이다. 블랙홀로 들어가면 웜홀을 지나 화이트홀로 나오는 것이다. 영화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웜홀은 일종의 지름길이다. 판타지 소설에 나오는 ‘포털’과 비슷하다. 문을 통과해 나가면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달라 화학구조가 매우 비슷한 냄새 분자 2개를 각 통로에 흘린 뒤, 먹이가 있는 곳의 냄새를 맞출 수 있는지 시험한 겁니다. 그 결과, 코끼리는 실험에 쓰인 총 12쌍의 냄새 분자를 높은 확률로 구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같은 테스트를 받은 원숭이나 물개, 꿀벌, ... ...
이전15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