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지형을 정확한 비율로 축소한 모형을 만들었습니다.연구팀은 이 기술을
해저
터널이나
해저
지형조사에 이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유 교수는 “싸이클롭으로 촬영한 영상은 항공기나 드론으로 지상을 촬영하는 작업을 수중에서 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3차원 프린터로 찍어낸 사실적인 ... ...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통신시스템이 갖춰지면 이런 문제가 단 번에 해결된다. ‘오른쪽으로 30cm만 더 이동해서
해저
면을 촬영해주세요’와 같은 주문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4000t급 이상 과학조사선을 4척씩 가지고 있는 중국과 일본도 아직 완벽히 구축하지 못한 시스템이다.바다에선 안전이 최우선이사부 호는 아라온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PSD 기술을 배워와 해군 등 각 기관에 전수한 교관이다.물속에선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
해저
지면이 온통 갯벌로 이뤄진 서해는 바닥에 발을 디디는 순간 자욱한 먼지구름이 일어난다. 물 흐름이 없는 강이나 저수지는 한번 뜬 부유물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아 더욱 열악하다. 해군 헌병단의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그런데 1991년,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한 현장이 발견됐어요!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해저
에 숨어 있는 ‘칙술루브 크레이터’가 그 주인공이지요.칙술루브 크레이터는 약 6500만 년전에 생겼어요. 약 10km 크기의 소행성이 충돌했을 때 생기는 크기인데다, 거대 천체 충돌 때 생기는 여러 암석도 함께 ... ...
미래를 엿보다! 2015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1호
다리로 걷거나 헤엄치면서 로봇팔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하지? 곧
해저
6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로봇도 개발될 거라고 해. 크랩스터가 밝혀 낼 심해의 비밀, 정말 기대 돼~. 드론과 3D프린터를 만나다!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던 미래 기술은 바로 드론과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때문이다. 느린 빛과 음파의 상호작용으로 수중 광영상통신 장비를 개발하면 잠수함이나
해저
자원의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많아요. 바다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은 기본이고, 화학폭발사고도 대비해야 합니다.
해저
에서 원유나 가스 등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학과에는 화학공학을 전공한 교수님도 계십니다.Q 우리나라 조선해양산업이 유명한 이유는.사실 우리나라가 조선해양산업에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해수면 온도가 덩달아 상승한다. 반대로 동태평양은 수위가 낮아지고 부족한 바닷물을
해저
의 차가운 바닷물이 올라와 채우면서 해수면 온도가 떨어진다. 엘니뇨는 이런 무역풍이 급격히 약해져 발생한다. 2~7년 주기로 발생하는데 기상학적으로는 엘니뇨 감시구역인 열대 태평양(남위 5°~북위 5°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조사했다. 현장조사를 총괄한 이용국 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연구센터장은 “세월호가
해저
에서 바닷물의 흐름을 방해해 수심 20~40m 사이에서는 유속을 예측하기가 어려웠다”면서도 “현재 전체 층의 80%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배는 옆면보다 바닥이 강하다. 사람의 척추처럼 몸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만든 산소와 바닷속 철이 만나 이룬 퇴적층이다. 당시는 지금보다 바다가 훨씬 넓었고
해저
화산 활동도 활발했는데, 이런 화산 활동에 의해 지구 내부의 철이 바닷속으로 흘러 들어왔다. 철은 산소가 없을 때는 물에 녹지만, 산소가 있으면 산소와 결합해서 산화철 형태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아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