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d라이브러리
"
해저
"(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만들 때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답니다. 결국 인공섬이 발달하면 상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해저
도시를 실제로 만날 수 있게 되는 셈이에요.인공섬, 해양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인공섬은 주변 해양 환경을 바꿔놓기도 해요. 얕은 바다에서 살던 해양 생물은 하루 아침에 살 곳을 잃어버리니까요.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단단한 껍데기를 짊어지고 다니다 위급한 상황에서는 안으로 숨어버리지요. 이 껍데기가
해저
압력을 얼마나 견딜 수 있을지 수학적으로 분석했습니다.연구팀은 껍데기 안쪽의 구조를 세밀하게 설계한 뒤 3차원 프린터로 인쇄했습니다. 그리고 3차원 모델에 압력을 가했습니다. 그 결과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이번처럼 피해가 크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의 지진 연구단체 인 지오
해저
드인터내셔널(GI)은 건물의 안전 수준과 사회 기반시설, 인구 증가에 따른 밀도 등을 고려해 2001년 ‘대지진에 취약한 세계 주요도시’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규모 6.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얼마나 많은 ... ...
가재처럼 걷는
해저
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바닷속에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7800만km 떨어진 화성보다, 최대 깊이 11km에 불과한
해저
에 대해 아는 게 더 없습니다. 이 세가지 이유 때문에 바다로 가야 하는 것 아닐까요."기자가 태안을 떠난 뒤, 연구팀은 바지선을 마도에 더 가까운 곳으로 옮겼다. 수심이 더 깊고 유속이 더 빠른 지역에서 ... ...
호주 바다에 나타난 ‘마귀할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지난 2월 2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사우스코스트 그린케이프 근처 바다에서 ‘마귀할멈’이라 불리는 마귀상어(Mitsukurinaowstoni)가 잡혔어요. ... 사실도 밝혀졌지요. 그래서 시각과 후각이 퇴화한 상태에서도 마귀상어는 어두컴컴한
해저
에서 먹이가 어디쯤 있는지 감지해 사냥할 수 있답니다 ... ...
화산 오늘도 뜨겁게 부글부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약 1500개의 화산이 분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단, 이건 바다 속 깊은 곳에 숨어 있는
해저
화산은 제외한 수랍니다.지금도 지구상에서는 매년 약 20여 개의 화산이 분화를 하고 있어요. 특히 판과 판이 서로 부딪히는 ‘경계면’, 지각 아래의 맨틀이 끓어오르는 ‘열점’ 등에 화산이 더 많지요.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틈에 시멘트를 꼼꼼하게 채워 넣어 가며 조금씩 전진하는 과정이 필요했지요.
해저
터널 때문에 여의나루역은 무려 지상에서 47m 아래 깊이인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있어요. 출구에서 승강장까지 5번 이상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을 갈아타고 내려가야 하지요. 우리나라에서 해발고도 기준 가장 깊은 역(-2 ... ...
[과학뉴스] 중력으로 그린 바닷속 지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걸프만에서 새로 발견됐다. 아프리카 앙골라 주변에서도 800km에 달하는 해구를 찾았다.
해저
산도 여럿 찾았다. 샌드웰 박사는 “새 지도는 지질학 연구는 물론, 군사, 자원채취 등의 실용적인 분야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암반공학은 기본적으로 수백에서 깊게는 수천m 아래까지 연구대상으로 삼습니다. 반면
해저
터널이나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싱크홀처럼 서로 협력해서 연구해야 하는 분야도 많습니다.Q 심재연(인천 송도고) 제 꿈은 북극해에서 직접 자원을 찾는 것입니다. 현재 개발 상황과 미래가 궁금합니다.A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준비를 마친 셈입니다. 그러나 대규모
해저
도시 건설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인간이 굳이
해저
에서 생활할 이유가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Q 윤다슬(동래여고 2학년)고래들도 음파를 이용해 대화를 합니다. 고래도 연구하시나요?A 수중 음파 연구에는 제가 연구하는 공학적인 응용 분야와 자연을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