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저"(으)로 총 70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1년 일본 쓰나미 부른 거대한 단층 이동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시추공을 뚫고 온도와 응력을 측정하는 등 50일간 조사했다. 분석 결과, 얇고 미끄러운 해저 점토층이 단층 이동을 가속화해 사상 최대의 단층 이동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우선 단층대의 두께가 표본을 채취한 곳에서 5m도 안 될 정도로 얇아, 지구상에서 발견된 판 경계부 가운데 가장 얇았다. 또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알려진 사실이 매우 적다. 남극이나 북극 등 극지에서 차갑게 식어 밀도가 높아진 수괴가 해저로 침강하면서 온 바다를 순환하는데, 지구 전체를 도는 데 약 2000년이 걸린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 만일 남극 심층수에 대한 정보가 쌓이면 우리는 지구 기후를 훨씬 더 자세하게 알게 될 것이다.남극 ... ...
- 난파선 탐사, ‘거북이 로봇’에게 맡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똑똑한 로봇이지요. 프로펠러 추진기가 아닌 물갈퀴를 사용해서 해저에 쌓인 침전물을 건드리지 않고 조용히 움직일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에요. 바닷물의 움직임이 격해져서 침전물이 올라오면 앞이 잘 보이지 않아 난파선을 탐사하기 어려워지거든요. U-CAT은 앞으로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InterRidge)’가 2010년까지 조사한 전 세계 해저 열수구의 위치. 맨틀의 활동이 활발하고 해저 지각이 갈라지는 해령 부근에 대부분의 열수구가 몰려 있다. 붉게 표시된 부분이 현재도 활동 중인 열수구다. “인이 없어? 비소를 먹으면 되잖아~!”지난 2010년 NASA는 우주생물학자 펠리사 울프-사이먼 ... ...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과학자들이 그 증거를 발견했어요. 동시베리아해에서 해저지형을 조사한 결과 빙상이 해저면을 긁으면서 생긴 엄청난 크기의 침식✽지형을 찾아낸 거예요. 이 지형을 분석한 결과 그동안 북극해에서 발견된 두께 1000m 빙상보다 더 두꺼운 1200m 빙상의 흔적이라고 밝혀졌어요. 아라온호 탐사로 제4기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짓고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제주도가 유일하게 진도와 해남에서 연결된 해저 직류 케이블로 전력 일부를 받고 있다. 장길수 교수는 “직류 송전망은 구축한다고 끝이 아니라 교류 계통과 함께 운영하는 경험을 빨리 확보해야 한다”며 “수도권 계통에 적용할 경우 고장이 나도 전국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주로 활용됐다. 또한 1980년대 이후 자장이 발생하지 않는 광섬유케이블이 깔리면서 해저케이블 도·감청은 줄어들었다.인터넷 시대, 모든 데이터를 엿본다인터넷이 등장하면서 첩보기관의 도·감청 방식은 크게 변했다. 데이터 분석이라는 새로운 창이 생긴 것이다. 첩보기관들은 인터넷 데이터가 ... ...
- 바다가 있는 한 조선해양공학은 영원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선배들이 조선 분야를 세계 최고로 이끌었다면 후학들은 앞으로 해양플랜트와 심해저 분야에 도전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세계 경제를 바라볼 수 있는 소양이 필요하다“조선해양공학과에서는 리더십, 창의성, 도덕성, 사회적인 책임감을 갖춘 인재가 필요합니다. 학과가 요구하는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0m까지 팔 수 있다.드릴 파이프 맨 아래에 연결돼 있는 드릴 비트는 파이프와 함께 돌면서 해저지각을 갈아 부순다(동영상 참조). 도깨비 방망이처럼 뾰족한 침이 여러 개 달린 쇠공 세 개가 맞물린 모양이다. 초기에는 무거운 돌을 높은 곳에서 떨어뜨려 시추 구멍을 뚫은 탓에 고압의 가스층을 잘못 ...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가라앉은 나무토막이 반 년 만에 크게 분해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연구팀은 “인근지역 해저를 수중 촬영한 결과 나무토막 유입이 전혀 없었다”며 “나무를 처음봐서 생물이 이용하지 못한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연구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B’ 8월 14일자에 실렸다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