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위취
개폐기
전환기
스윗
스윗치
switch
스위치무역
뉴스
"
스위치
"(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영챌린지 2017] 뇌처럼 작동하는 컴퓨터를 위한 입체 메모리
과학동아
l
2017.11.30
진행 중이다. 심사를 맡은 신 책임연구원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광
스위치
가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빠르게 작동할 수 있게 설계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말했다.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①] 가족관계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9
통해 로봇도 사람에 대해 차차 알아가거든요. 거기에 맞는 반응도 하고요.” 로봇은
스위치
를 켜거나 통신망에 연결하는 순간부터 척척박사처럼 뭐든 알려주거나 챙겨준다고 생각했던 사람에게(그게 초연결, 초지능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사람을 알아가는 로봇'은 낯설다. 하지만 미디어랩 ... ...
종이로 만들고, 스마트 기기로 조종하는 RC코뿔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24
다시 뚜껑을 열어 선들이 모터캠에 걸리지 않게 투명 테이프로 붙여 고정했어요. 그리고
스위치
를 켜자 코뿔소가 다시 움직였답니다! 블루투스로 모터에 연결된 스마트 기기로 RC코뿔소를 조종할 수 있다. - 이윤선 기자 제공 내가 만드는 메이커 스쿨 코뿔소 밀기 대결을 해 보자! 기자단 친구들은 ... ...
머리 안 나는 '망가진 모낭'도 회복...탈모 치료 새 가능성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단백질 유전자의
스위치
를 유전학 기술로 '끄는' 방식으로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했다.
스위치
가 꺼진 쥐는 그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신체나 행동의 변화를 보면 단백질의 기능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CXXC5라는 단백질이 머리카락 형성을 막는 일종의 '방해꾼' 단백질임을 확인했다. CXXC5가 ... ...
반짝반짝 눈이 부셔~! 나만의 네온사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25
EL와이어와 절연테이프를 꼼꼼하게 붙인 뒤, 전원
스위치
를 연결했어요. 불을 끄고 전원
스위치
를 켜자 나만의 네온사인이 아름다운 빛을 발했지요. 말풍선 모양의 네온사인으로 개성을 뽐낸 이기은(서울 신용산초 5) 친구는 “네온사인의 네온이 원소인 줄 몰랐는데 이번에 알게 돼 ... ...
외국어 마스터의 비결, 새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9
스피커로 들려주면 아기 새는 잘 모른다. 사회적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스위치
를 눌러 노래가 나오는 기계를 도입하면, 새가 노래를 잘 배운다. 비록 기계와의 관계지만, 일종의 사회 관계가 형성된 덕분이다. 우리도 그렇다. DVD 등으로 언어를 배울 수 있다. 하지만 아이들조차 ... ...
아이폰X에 담긴 애플의 10년
2017.09.13
버튼이 사라지는 것은 큰 사건이다. 홈 버튼의 역할은 앱을 닫고 메인 화면으로 나가는
스위치
이자, 두 번 눌러 앱 사이를 오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기기를 켜면서 동시에 지문을 읽는 터치ID의 센서다. 아이폰 이용자들은 홈 버튼을 하루에도 수 백번씩 누르게 마련이다. 이를 없앤다는 것이다 ... ...
빛으로 전기 신호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1
구성하는 기본 부품인 트랜지스터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거나 신호를 켜고 끄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자다. 연구진은 전자기기용 소재로 외면받던 ‘다공성 실리콘’을 활용해 기존 트랜지스터 동작 효율을 한계를 뛰어넘는 신개념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다공성 실리콘은 수 나노미터 크기의 ... ...
당신이 공포영화를 못보는 ‘겁보’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차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이
스위치
는 ‘5-hmC’라는 염기 물질로 DNA에 부착하면 두려움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차단할 수 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겁보라도 해결책은 있다. 존 웨미 미국 아이오와대 연구원 팀은 2007년 겁보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회로가 유지돼 생쥐도 사람처럼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게 될까. 이 유전자의
스위치
가 꺼진 변이 생쥐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앞발이 손의 역할을 할 때 정상 생쥐보다는 훨씬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물론 사람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카펠리니를 주면 손놀림 회로가 없는 정상생쥐는 양 앞발로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