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스위치"(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겨진 DNA로 범인 행동 분석까지…진화하는 과학수사과학동아 l2017.07.28
- 신기술이다. DNA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메틸기’라는 스위치가 달려있다. 이 스위치가 켜지는 것을 메틸화라고 부른다. 메틸기가 어떤 형태로 얼마나 붙어있는지 보면 신원을 추정하고 행동을 유추할 수 있다. 기자의 나이, 흡연 여부 등을 알아낸 것도 같은 기술이다. 나이를 먹거나 담배를 ... ...
- 블럭과 코딩을 연결하면 우주 관제소가 뚝딱! 다두블럭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07.25
- 그 다음 USB 케이블을 이용해 우주 관제탑과 컴퓨터를 연결하자, 우주 관제탑의 스위치와 다이얼로 화면 속 우주선의 속도와 방향을 바꿀 수 있었답니다. 멋진 관제탑을 만든 김민제(서울 탑동초 4) 친구는 “직접 만든 블럭과 코딩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신기했다”고 소감을 ... ...
- 3배 밝고, 전기료는 절반...차세대 디스플레이 찍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7.07.24
- 것과 비슷한 ‘롤 전사(轉寫)’ 공정을 개발해 대량생산의 길을 열었다. 디스플레이의 스위치 역할을 할 박막트랜지스터(TFT) 소자를 롤에 묻혀 기판 위에 굴려 원하는 위치에 놓은 뒤, 다시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를 입힌 롤을 굴려 그 위에 올리면 두 소자가 결합한 형태의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가 ... ...
-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上)]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 이거 실화냐?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당시에는 간이 스탠드가 유일한 해결책이었다. 라면 박스를 구해 한지를 바르고, 소켓과 스위치를 연결해 나만의 무드등을 만들었더랬다. #2. 당시 아버지는 기자를 ‘마이너스의 손’이라고 불렀다. ‘나만의 작품’이 탄생할 때마다 멀쩡한 물건이 하나씩 망가져 나갔기 때문이다. “제발 ... ...
-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下)] 미세먼지 측정기를 만들어 IoT를 경험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6.23
- 이를 조정하는 소프트웨어를 한번에 다루기 위해 아두이노를 활용했다. 아두이노는 스위치, 센서 등에서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전원, 모터, 전등 등 외부 장치를 작동하게 하는 도구다. 원하는 기능을 코딩해 기기에 올리면 거의 무한에 가까운 활용이 가능하다. ● 스마트 콘센트 만들어 실시간 ... ...
- 부팅 기다릴 필요 없는 컴퓨터 상용화 성큼동아사이언스 l2017.06.07
-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소자의 핵심 요소로, 전기 신호를 증폭하거나 전달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스핀 트랜지스터는 현재 쓰이는 트랜지스터와 달리 지구의 자전처럼 자성을 이용해 전자를 회전시켜 신호를 만든다. 기존 반도체는 전자의 흐름을 이용해 0과 1의 신호를 구분한다. 반면, ... ...
- 초파리 암컷은 교미 뒤 왜 공격적으로 변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5.21
- 교미한 암컷만 공격성이 높아졌다. 교미라는 행위와는 상관없이 정자·정액단백질이 ‘스위치’ 역할을 했던 것이다. 정자·정액단백질을 받은 암컷은 알을 낳은 뒤 공격성이 커지거나(간접 경로), 알을 낳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격성이 커졌다(직접 경로). 네이처 제공 이번 실험처럼 수컷의 ... ...
- [써보니] 아이패드를 바라보는 애플의 새 전략 '가격'2017.05.16
- 있다. 일단 크기와 두께가 아이패드 에어와 같다. 음량 조정 버튼 옆에 있던 화면 고정 스위치가 사라졌고, 동영상을 찍을 때 쓸 마이크의 위치가 조금 달라졌다. 하지만 디자인에 큰 변화는 없다. 어떻게 보면 아이패드 에어2보다 두꺼워진 셈이다. 이 아이패드를 보면서 뭔가 묘한 느낌이 들었다. ... ...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04.17
- 있다면 좀 더 복잡한 전자 회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회로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스위치를 켜고 끌 수 있다는 의미다. 예컨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향을 내뿜는 장미나 노래가 나오는 장미도 제작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물질인 ‘ETE-S’가 장미 곳곳에 퍼져있다. 사진은 줄기의 ... ...
- [영상] 생체시계가 무너지면 우리 몸은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7.04.01
-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곳은 뇌 속에 작은 시신경교차상핵(SCN)입니다. 빛이라는 스위치로 작동하죠. 망막 세포가 감지하는 빛이 많아질수록 시신경교차상핵에서 각성을 일으키는 단백질이 많이 만들어지고, 일조량이 줄면 수면과 관계된 단백질이 많이 만들어집니다. 태양 주기에 따라 ‘똑, ... ...
이전141516171819202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