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과학자들은 X선 결정학 등을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직접 분석해 10만 여 종의 구조를
해독
했다. 그러나 한 번 분석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어 그 수가 크게 늘지는 못했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실험 대신 컴퓨터 계산으로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해 오는 연구를 수행해 왔다. 단백질들끼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대신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이 크다는 쪽으로 유도할 것이다. 여러 정황상 지난 2010년 게놈
해독
으로 존재가 드러난 이래 많은 고인류학자들이 얼굴을 알고 싶어 한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만일 이렇게 논문 시나리오가 바뀌어 유명 학술지에 실렸다면 언론들이 ‘마침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북미에 재배되고 있는 오렌지의 원산지인 남중국 지역에서 찾은 114개 변이체의 게놈을
해독
해 비교분석했다. 그 결과 전이인자(transposable element)라는 이동성 염기서열이 체세포 변이를 유발해 구연산 합성과 운송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과일 산도에 편차가 나타났다는 사실을 ... ...
2만 년 전 한반도에는 이미 코로나 감염병 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1000 게놈 프로젝트는 미국과 영국의 주도로 대륙별 26개 인구 집단의 유전체를
해독
해 지역별, 개인별 차이를 조사한 인간 유전자 지도 작업이다. 2008년 시작해 2015년 끝났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동아시아의 유전체 샘플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가 남긴 유전자 조각 42개를 확인했다. 다른 지역 ... ...
남녀 성비 1:1 유지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0
대 0.614로 수컷이 현저히 적었다. 연구진은 정상 생쥐와 테쉴이 결핍된 생쥐의 유전자를
해독
해 비교한 결과 테쉴이 없는 경우 X염색에의 존재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증가하고 Y염색체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테쉴이 Y염색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 ...
2만4000년간 얼어있다 부활한 미생물, 번식도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2만3960~2만4485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또 담륜층의 게놈을
해독
한 결과 아디네타(Adineta) 속에 속하며, 현재 벨기에에서 보고된 종과 같은 종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클론 배양을 이용해 담륜충이 단성생식으로 번식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스타스 말라빈 ... ...
[과학게시판] 우정사업본부, 멸종위기 바다거북 기념 우표 발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기존의 공개키 암호체계를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암호기술로 양자컴퓨터를 이용해도
해독
하기 어려운 안전성을 갖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KISA는 양자내성암호기술을 시범 적용할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기존 암호기술과 성능을 비교·측정하고, 양자내성암호의 효율성과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 ...
달콤하고 빨간 현대 수박의 조상은 아프리카 수단 ‘코도판 멜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6
심어 직접 키웠다. 그리고 각 품종의 게놈을 분석해 유전적 차이를 조사했다. 게놈
해독
에는 퍼시픽 바이오사이언스와 일루미나의 시퀀싱 장비가 사용됐다. 조사 결과 연구진이 사용한 현대의 수박 품종(97103)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품종은 코도판 멜론이었다. 이들 두 품종 사이에는 유전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백질에서 발견한 새로운 교차결합
동아사이언스
l
2021.05.22
스위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엑스선으로 단백질 구조를
해독
하기 전 ‘이황화물’ 교차결합 구조일 거라 추정했지만 실제 결과는 달랐다. 시스테인과 라이신 사이의 교차결합으로 이전에 발견된 적이 없는 형태였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이 교차결합 구조가 다른 ... ...
[표지로 읽는 과학] 척추동물 25종의 유전체를
해독
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1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지난 29일 척추동물의 유전체 지도를 만들기 위한 국제 공동 프로젝트인 ‘척추동물 유전체 프로젝트(VGP)’가 발표한 척추동물 25종의 유전체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VGP는 2018년 9월 처음 14개 종의 표준 유전체 지도를 공개한 이후 계속해서 척추동물의 유전체 지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