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마침내 폐어의 게놈이
해독
됐다. 지난 1월 18일 ‘네이처’ 사이트는 호주폐어의 게놈을
해독
한 연구결과를 담은 독일 콘스탄츠대가 주축인 다국적 공동연구팀의 논문을 공개했다. 호주폐어의 430억 염기 가운데 90%가 소위 쓰레기 DNA로 불리는 반복서열이다. 호주폐어의 유전자는 3만1120개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Oude Munnink et al., 2020). 셋째, 국가 간 유입 가능성이다. 즉 바이러스 유전체 샘플 수집과
해독
률이 매우 낮은 국가에서 바이러스 변화 과정을 알아채지 못해 B117 변이체가 폭넓게 전파된 이후, 영국 런던과 남동부 지역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영국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뛰어난 유전체 분석 및 ... ...
한국 연구팀 ‘남극이빨고기’ 유전체 전체 세계 최초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어획량이 가장 많은 나라로서 책임감 있는 행동의 일환”이라며 “이번 염색체
해독
결과가 남극이빨고기의 특징을 이해하고 보호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남극해 해양보호구역의 생태계 구조 및 기능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연구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NHGRI 제공 영국에서 유행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도 확인됐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8일 정례브리핑에 ... 100만 개 염기를 한 번에 읽어낼 수 있는 나노포어 시퀀싱 기술처럼 NGS를 보완하는 유전체
해독
기술도 등장했다. ... ...
암 원인 3차원으로 보는 암 게놈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보여줬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아직
해독
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암 유전체를 정밀하게
해독
하는 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 기반산업화 인프라와 서경배과학재단 지원을 통해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27일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에 ... ...
영국 변이 코로나바이러스 지금까지 알아낸 것과 아직 모르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것만 확인 영국 정부는 코로나19 환자의 혈장에서 채취한 바이러스 게놈(유전체)을
해독
하는 ‘COG-UK’ 컨소시엄을 꾸려 바이러스 변이를 추적해왔다. 최근 변이 바이러스를 맨 처음 확인한 곳도 이 컨소시엄이다. COG-UK 제공 영국에서 확산하고 있는 이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특징에 대해 ... ...
[팩트체크]영국 '변종' 바이러스 대신 '변이체'가 정확한 용어
동아사이언스
l
2020.12.21
내용에 따르면 이 바이러스는 9월 20일 켄트와 21일 런던에서 각각 처음 획득했고, 게놈을
해독
한 결과 돌연변이가 처음 확인됐다. 보고서는 “그간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매달 평균 1~2개의 돌연변이가 발생해 축적됐다”며 “기존의 돌연변이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안정화됐지만, 이 바이러스는 ... ...
네이처 선정한 10대 과학인물 중 주목할 '이들'이 있다
2020.12.16
보고된 지 11일 만인 올해 1월 11일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RNA 염기서열을
해독
해 세계에 처음으로 공개한 인물이다. 당시 중국은 바이러스 정보 공유를 금지하고 있었다. 바이러스와 감염병 전문가인 장 교수는 1월 3일 처음으로 바이러스를 받았다. 이날 중국 정부는 전국에 바이러스에 관한 ... ...
英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발견" WHO 보고…전문가들 "변종 여부 아직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5
지적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8일자에 따르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게놈이
해독
된 뒤 1만2000개 이상의 유전자 변이가 확인됐다. 이들 변이는 주로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일어나며 아미노산이 다른 단백질로 대체되는 식으로 완전히 다른 종의 출현으로는 이어지지 못했다. ... ...
실험실에서 키운 한우 세포로 만든 스테이크 식탁 위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프로젝트를 진행해 2009년 가축 중에서는 처음으로 헤리퍼드 품종의 소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
해 공개했고, 이를 토대로 농촌진흥청은 국립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NABIC)를 구축해 두 종류의 소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 대표는 “송아지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마블링 관련 대사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