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영향
악독
폐
번역
판독
가해
불쾌
뉴스
"
해독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키운 한우 세포로 만든 스테이크 식탁 위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프로젝트를 진행해 2009년 가축 중에서는 처음으로 헤리퍼드 품종의 소 유전체를 완전히
해독
해 공개했고, 이를 토대로 농촌진흥청은 국립농업생명공학정보센터(NABIC)를 구축해 두 종류의 소 유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금 대표는 “송아지에서 채취한 검체에서 마블링 관련 대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미국 연구팀이 이 가운데 X염색체의 염기서열을 끝에서 끝까지 결손 구간 없이 대부분
해독
하는 데 성공했다. 네이처 논문 캡쳐 1900년 극적으로 멘델의 유전법칙이 재발견되기는 했지만 유전을 담당하는 물질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는 바가 없었다. 월터 서턴과 테오도르 보페리는 1903년 ... ...
[주말N수학]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20.12.05
피퍼 교수는 1996년 격자 암호 중에서도 다른 암호 기법에 비해 빠르게 암호화하고
해독
할 수 있는 ‘NTRU 암호화 알고리듬’의 초기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그는 같은 해에 세 명의 브라운대 교수와 함께 ‘NTRU 암호화 알고리듬’을 활용해 무선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보안 프로그램을 만드는 회사를 ... ...
미생물과 박테리오파지가 주기율표 원소 55종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2.04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을 유전적으로 조작해 미생물이 금속 이온을
해독
하는 과정에서 나노재료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특훈교수팀 외에 해외 연구팀도 이와 유사한 연구결과를 학계에 여럿 보고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진 무기 나노재료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 ...
"쓸모없는 기초연구는 없다" 코로나 극복 터 닦은 7명 '황금거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개발을 시도한 덕분에 올해 1월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게놈이
해독
되자마자 백신 후보물질을 찾아냈고, 이는 코로나19 백신이 신속히 개발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위치한 NIH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백신연구센터 부소장인 바니 ... ...
옥스퍼드대 코로나19 백신 어떻게 '속도전'에 성공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방식 등도 이유로 지목됐다. 옥스퍼드대 외에 모더나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게놈이
해독
된 지 10주도 되지 않아 mRNA 백신 임상 1상에 돌입했다. BBC는 영국 정부가 백신이 개발되기도 전에 옥스퍼드대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400만 도스 공급 준비를 마쳤다며, 영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 긴급 ... ...
[코로나19 연구속보] 캄보디아와 일본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발견...팬데믹 기원 알려줄까
2020.11.24
잡힌 두 마리의 관박쥐(Rhinolophus shameli)에서 발견됐다. 바이러스의 게놈은 아직 완벽히
해독
되지 않은 상황으로 발표되진 않았다. 프놈펜에 위치한 파스퇴르 연구소의 바이러스학자인 비스나 두옹 박사는 "만약 이 바이러스가 팬데믹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조상이거나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SARS-CoV-2가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확인했다. 그 결과 4개의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RNA
해독
등 추가 분석을 한 결과 샤페론 단백질 가운데 하나인 ‘섭티16에이치(Supt16h)’가 조혈줄기세포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정상 제브라피쉬(왼쪽)와 Supt16h 돌연변이 제브라피쉬의 ... ...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바이러스 성장 단백질 연구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규명하는 현재 연구를 소개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체는 올해 초
해독
됐지만 전사 구조와 단백질 함량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은 사스-CoV-2 전사체의 고해상도 맵을 제작해 바이러스성 전사체가 수많은 불연속 전사 이벤트로 형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우리가 알 수 있고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게 오늘날의 시각이다. 게놈
해독
을 통한 유전자 정보도 중요하지만, 그 유전자가 언제 어디서 얼마나 발현돼 세포와 조직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를 아는 것이 그 이상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DNA 염기서열만 들여다봐서는 그 답을 알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