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설 차례상에서도 기후변화를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5
잡히는 ‘국민 생선’이었다. 하지만 현재 한국 해역에서 명태를 보기 힘들 정도로
개체
수가 감소해 2010년대 들어 1~9t 정도 잡히고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명태의 약 90%는 러시아산이다. 이렇게 한국 해역에서 명태가 사라진 것에 대해 새끼 명태에 대한 무분별한 남획도 이유로 꼽히지만 ... ...
멸종위기종 고래, 위성으로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뒤에는 동물 보호 단체들이 고래들의 이동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현재 유용한 고래
개체
수 모니터링 기술은 ‘에어리얼 서베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고 기상 조건에 따라 데이터가 달라지며 조사를 수행하는 데도 위험성이 존재한다. 아쿠아리움측과 드레이퍼는 향후 몇 ... ...
멸종위기 생물 100만종 구하려면 무엇을 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29
번식을 돕는 데 오랜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며 "프로젝트를 통해 당장 동물의
개체
수를 수천~수만 마리씩 늘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멸종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습지에서 발견된 넓적부리도요. 세계적으로 약 400마리만 남아 있어 이런 모습을 발견하는 것은 쉽지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물론 모든
개체
가 같은 전략을 취할 리 없다. 지역적인 혹은 시간적인 기생충의 감염 수준에 따라 그 최적 수준이 달라졌을 것이다. 기생충도 가만히 팔짱 끼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앞서 말한 대로 숙주의 Th2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적합도를 높였을 것이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대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
2019.12.21
달리 독보적으로 느리게 성장하는 동물임을 지적했다. 즉 태어나서 한 명의 어엿한 인간
개체
로 기능하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고, 단 한 명을 제대로 기능하게 만들기 위해 수 많은 사람들의 사랑과 보살핌, 관심이 필요한 유난히 손이 많이 가는 동물이라는 것이다. 번식 전략에 있어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
2019.12.10
그 결과 지질 과산화물이 축적되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되고 결국
개체
에 해가 된다. 따라서 어느 수준 이상이 돼 복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자살 프로그램이 가동하게 진화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암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이다. 암은 생리 균형이 깨진 세포들로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유전자의 결함, 감염 등으로 인해서 스스로 번식하겠다고 결정한 것이다. 물론 암세포도
개체
를 떠나면 죽어버리기 때문에(대부분은) 이런 전략은 자해 전략이나 다름없다. 암세포가 생각할 능력이 있다면 발암이라는 엉뚱한 짓을 벌이지는 않을 것이다. 암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도 변이가 ... ...
벌새·딱정벌레 닮은 생체모방로봇 미래전 양상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3
그는 “군집 형태로 활용할 수 있는 소형 생체모방 로봇은 정보 수집에도 유리하고 여러
개체
가 임무수행을 하기 때문에 임무 성공가능성도 높아진다는 장점도 있다”고 덧붙였다. 왼쪽은 중국에서 개발한 도브드론이며 오른쪽은 미국에서 개발한 벌새 로봇이다. 중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품종을 교배해 원하는 특성을 지닌
개체
를 선별하면 게놈의 4분의 3이 재배 품종의 것인
개체
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세대를 거칠 때마다 도입된 품종의 게놈이 절반씩 희석되므로 6세대에서는 1%대(1/64)가 되고 8세대에는 1/256에 불과하다. 원하는 특성만 남은 사실상 재배종을 얻는 셈이다. 벼의 ... ...
DGIST, 인공지능 기업 ‘다비오’와 공동연구소 설립
동아사이언스
l
2019.11.30
분석 알고리즘 등 공동 연구 성과를 내기도 했다. 이 기술은 위성 및 항공 사진 내 특정
개체
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 및 사업화를 진행중이다. 박경준 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전공책임교수는 “이번에 개설한 인공지능랩은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기술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