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코리포트]제주 비자림로 확장 논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25
불빛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인데, 도로를 만들고 가로등을 설치하면 많은
개체
가 불빛에 날아들어 차에 깔려 죽게 될 것”이라며 삼나무 벌채에 대한 우려를 전했습니다. 시민모임의 김순애 녹색당원은 “제주도는 천혜의 자연을 간직하고 있는 곳인데, 그 자연이 당연하고 영원할 것이라고 ... ...
[인류와 질병] 인류 최대의 적
2019.08.17
만들어진다. 인간을 떠났던 모기가 다시 인간 곁으로 돌아온 순간이었다. 모기의
개체
수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강수량이다. 온도도 중요하지만, 물이 더 중요하다. 비가 와야 모기가 번창한다. 여름이라고 해도 가뭄이 심하면 모기가 줄어든다. 그런데 인간이 물웅덩이가 가득한 환경에서 옹기종기 ... ...
[프리미엄 리포트] 부르키나파소는 왜 GM모기 방사를 결정했나
과학동아
l
2019.08.17
수컷 정자의 X 염색체를 망가뜨려, 암컷 자손을 낳지 못하도록 만든다. 또한 이
개체
가 낳은 수컷 역시 뉴클레이스 유전자를 물려받아 암컷을 낳지 못한다. 그 결과 집단 내 암컷이 점점 줄어든다. 2. 암컷 모기의 생식과 관련된 핵심 유전자를 망가뜨려 번식을 못하게 한다. 이는 암컷의 특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adoptive immunotherapy)이란 특정 항원을 인식하는 면역세포를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개체
에 넣어 면역력을 갖게 하는 치료법이다. 1990년대 연구자들은 HIV를 없애기 위해 입양면역요법을 시도했다. HIV에 감염된 세포 표면에 있는 바이러스 단백질 gp120(항원)을 인식하는 항원수용체의 유전자를 넣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조성이 쓴맛에 대한 민감도와 관련돼 있다는 몇몇 연구결과가 있었지만 동일한
개체
에서 쓴맛에 한동안 노출된 전후 침단백질의 조성이 바뀐다는 결과는 처음이다. 그렇다면 침단백질은 어떻게 쓴맛 민감도에 영향을 주는 걸까. 지난해 연구자들은 침단백질이 고삭신경의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게놈 프로젝트, 반추동물의 비밀 밝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반추동물의 진화 이력을 볼 수 있는 계통도를 만들어보니 10만 년 전에 반추동물의
개체
수가 크게 줄었음이 밝혀졌다. 이 시기는 아프리카에서 인간들이 이주하기 시작한 시기와 일치한다. 이는 초기 인류가 반추동물의 생존에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라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연구팀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천적이 가져온 생물 다양성의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나머지 지역엔 초록 아놀리를 풀어놓았다. 그런 다음 약 6년에 걸쳐 도마뱀 종류에 따른
개체
군 크기와 서식지, 먹이의 변화를 관찰했다. 말린꼬리 도마뱀이 없는 섬에서는 초록 아놀리와 갈색 아놀리가 함께 서식하는 생태계로 변화했다. 서로 다른 먹이 및 서식지를 차지했다. 초록 아놀리는 나무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수 있기 때문에(소진화) 처음에 예측했던 것보다 타격이 적다는 것이다. 그리고 살아남은
개체
는 경쟁이 덜하기 때문에 더 많은 자손을 봐 줄어든 수를 어느 정도 보전할 수 있다. 한편 식물과 수분 곤충처럼 의존 관계에 있는 종들 대다수도 특정 파트너를 고집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꿩 대신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다른 서식지로 이주한 사실이 밝혀졌다. 핼리 만에서 약 55km 떨어진 또다른 군집의
개체
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5년에는 약 1200쌍의 황제펭귄이 살았지만, 2018년에는 1만 4000마리로 이상으로 늘었다. 그나마 핼리 만의 펭귄은 이주할 곳이 있어 절반이나마 생존했다. 하지만 ... ...
우리 앞바다 ‘미세플라스틱 역습’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남해연구소장은 낙동강에서 남해로 흘러드는 플라스틱 양이 연간 53 t으로
개체
수로는 약 1조2000억 개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한반도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제한적이지만 구체적으로 분석된 것은 처음이다. 국내에서는 인구가 많은 남동해안 주변이 인구가 적은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