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특히 원전 항구에서 잡은 저서어류(갈색 x)의 경우 여전히 수만 베크렐이 찍히는
개체
가 잡히기도 한다. 논문에 따르면 원전 항구 둘레에 그물을 설치해 저서어류들이 이곳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있다. WTO의 보고서가 공개된 시점에서 60일 이내에 당사국은 상소를 할 수 있다고 한다. 후쿠시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전역에 퍼졌고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고 진드기뿐 아니라 고양이 같은 동물도 매
개체
가 될 가능성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긴소매 옷을 입고 야외에 다녀온 뒤 몸을 잘 살펴라’는 수준 이상의 대응을 고려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일단 떠오르는 게 백신인데 아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
이기 때문에 유전자재조합생명체(GMO)가 아니라는 말이다. 참고로 지난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오랫동안 고민하던 버닛은 어느 날 클론선택이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즉
개체
발생 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으로 각각 고유한 항체를 만들 수 있는 수백 만 가지 면역세포가 만들어지는데 우리 몸의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세포(클론)는 소멸되거나 활성을 잃게 된다. 따라서 남아 있는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유사성을 보임을 확인했다. 두 돌연변이체는 서로 매우 비슷한 표현형을 보였는데, 두
개체
모두 정상 식물보다 개화시기가 빨랐고, 열매 끝이 뭉툭한 모양이었다. 즉, HDA9와 PWR 단백질은 동일한 유전적 경로를 통해 탈아세틸화 작용을 수행함을 밝혀낸 것이다. 유전체 분석 결과, PWR는 HDA9와 직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
2017.02.21
1768년 가장 극적인 식충식물인 파리지옥(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만 분포)의 살아있는
개체
가 런던에서 공개될 때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는데 그 뒤 괴담이 줄을 이었다. 즉 북미에는 사람도 잡아먹을 수 있는 거대한 파리지옥이 있다는 것. 실제 코난 도일은 1880년 이를 소재로 한 단편 ‘미국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자신의 존재를 알리는 화학물질(신호)를 내보내고 주변에서 오는 신호를 받는다. 그 결과
개체
밀도가 어느 수준 이상이 됐다고 판단하면 집단행동에 들어간다. 가장 흔한 결과가 생물막(biofilm) 형성으로, 치아에 낀 치석이 바로 구강미생물이 만든 생물막이다. 한편 비브리오 피셰리(Vibrio fischeri)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5] 범고래 암컷이 나이 마흔에 폐경기를 겪는 이유
2017.01.17
이유 아닐까. 이 경우 한 무리에서 수컷은 서로 혈연관계이지만 암컷은 혈연관계가 없는
개체
가 외부에서 계속 유입된다. 그 결과 암컷이 나이가 들수록 수컷들과의 평균 혈연도가 올라간다(아들이 생긴다). 따라서 나이 든 암컷이 젊은 암컷보다 무리와 혈연도가 더 높고 따라서 젊은 암컷의 자식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필요없기 때문에 쓸데없는 구조를 만드느라 부족한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 눈알이 작은
개체
가 선호됐고 이런 과정이 쌓이면서 결국 눈이 완전히 퇴화한 오늘날의 동굴물고기가 나타났다는 것. 연구자들은 강물에 비해 이온이 턱없이 부족한 동굴의 물이라는 환경 스트레스가 샤프론이 대응할 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
개체
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99년 펴낸 ‘메타
개체
군 생태학’은 이 분야의 바이블이다. 2000년 한스키는 헬싱키에 메타
개체
군연구센터를 설립해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을 끌어 모았다. 그는 후배들이 손을 흔들 때마다 기꺼이 도움을 주면서도 ‘상당한 지적 기여’를 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