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귀비꽃, 그 붉은 아름다움의 비밀
2016.05.30
000m 고지 청정지역에서 자라는 라벤더와 타임은 평지에서 대규모로 재배하는 식물체보다
개체
크기도 작고 드문드문 분포해 있어 수확하는 일이 쉽지 않아 보였다. 프랑스산 야생 라벤더와 타임 정유가 비싼 이유가 있었다. 그런데 오가는 길 들판 곳곳에 꽃잎 색이 너무나 선명하게 빨간 꽃들이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결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 “네안데르탈인 Y염색체를 지닌
개체
는 생식력 또는 생존력이 떨어졌을 것이라는 가정은 ‘홀데인 법칙’과도 부합하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저명한 유전학자 존 홀데인이 1922년 한 논문에서 제안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
2016.02.26
착공될 예정이다. 실험목장에는 로봇착유(搾乳)시스템, 로봇포유(哺乳)시스템,
개체
관리시스템이 적용돼 있다. 사육 중인 소들은 RFID 목걸이를 착용하고 축사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데, 목걸이로 확인받은 뒤 해당 장비에 들어가 스스로 사료를 먹고 착유받는 토털 시스템의 관리를 받고 있다. 어린 ... ...
귀족 생선 자바리, 이제는 기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2.17
교배하는 방법입니다. 두 종의 정자와 난자를 수정시켜서 양쪽의 장점만을 물려받은
개체
를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향어 같은 민물 어종에서는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지만 바다물고기 대상으로는 아직 상업화되지 않았어요. 이번 성과를 통해 대량 양식이 가능한 교잡 어종을 시장에 내놓을 수 ... ...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대형견의 경우 성장인자의 과다분비 또는 해당 수용체의 과민화쪽으로 변이가 일어난
개체
를 선별한 것일 뿐이다. 고양이과 동물도 비슷한 맥락으로 고양이와 호랑이는 몸무게가 100배나 차이가 나지만 수명은 별 차이가 없다. 고양이과 동물의 종분화가 비교적 최근(천만 년) 이내에 일어났기 ... ...
신규원전으로 돌아보는 원전지역 특산물 (3)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1.20
명태도 불과 십여년 사이에 어획고가 급감했다. 문제는 지금의 감소세가 단순한
개체
수 변동 사이클의 일부가 아니라 기후 변화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는 점이다. 대게는 기후변화가 우리의 밥상을 바꾸어 놓은, 또 하나의 사례인 셈이다. 안타까운 상상이지만, 한반도 연안의 수온이 점점 올라가면서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
IBS
l
2015.11.18
말로 간단히 정리했다. 최근 동물 복제 기술은 초기 수정란 단계에서의 핵치환으로 복제
개체
를 얻는 성공률이 높아졌다고 평가된다. 하지만 높아진 성공률이라고 해봤자 고작 10% 미만이다. 거기다 돌연변이 문제도 골치다. 체세포핵을 이식하기 위해서는 세포를 저농도 영양 상태의 배지에서 ... ...
가을나들이의 불청객, 말벌 대처법
KISTI
l
2015.11.01
특성이 있어 가장 조심해야 한다. 최근에는 토종 말벌에 등검은말벌과 같은 외래종도
개체
수를 늘려가고 있어 피해가 더욱 늘고 있다. 먼저 벌을 발견하면 자세를 최대한 낮춰 그늘지고 낮은 쪽으로 조용히 자리를 옮기는 것이 좋다. 벌을 쫒는다 생각하고 팔을 휘두르거나 뛰어가는 행동은 오히려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모기 소탕)와 짝을 이뤄 말라리아 박멸에 나섰다. 그러나 두 약물에 대해 내성을 지니는
개체
들(말라리아원충과 모기)이 나오기 시작하고 DDT의 환경유해성이 부각돼 사용이 금지되면서 1960년대 들어 말라리아는 다시 만연하기 시작했다. 당시 베트남 전쟁에 관여하고 있던 중국은 자국병사들의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과 호모속의 모자이크 호모 날레디의 가장 놀라운 특징은 한
개체
에 호모속과 그보다 원시적인 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의 특징이 모자이크처럼 공존한다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호모속으로 분류한 건 두 속을 구분하는 핵심특징에서는 호모속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