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진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동물처럼 복잡한
개체
에서 비유전자 DNA의 중요한 기능적 역할을 강조한 최근 논문들과는 대조적으로, 현화식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게놈은 비유전자 ‘암흑물질(dark matter)’에 있는 숨은 조절인자를 많이 요구하는 것 같지 않다”고 ... ...
갈라파고스의 공룡은 어떻게 멸종했는가?
KOITA
l
2013.05.03
최근 유행하기 시작한 말 중 ‘갈라파고스화’라는 말이 있다. 갈라파고스는 다윈이 진화론의 기초 아이디어를 정립하는 데 큰 도움을 준 섬으로 독특한 생태계로 유명 ... 적용되는 셈이다. 소니가 놓친 부분은 바로 이 원리, 특출한
개체
가 아닌 최적의
개체
가 살아남는다는 원리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유전학 중에서도 집단유전학을 깊이 연구했는데 집단유전학이란 한
개체
가 아니라
개체
군(집단)의 수준에서 유전자의 분포와 진화를 설명한다. 크로는 뛰어난 연구자이면서 멘토였기 때문에 그의 문하에서 수많은 인재들이 배출됐다. 그 가운데 한명이 모투 기무라로 크로와 함께 중요한 결과를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암컷 한 마리에서 세 마리, 새끼들로 이뤄져 있다. 발견 당시에도 이미 얼마 되지 않던
개체
수는 20세기 들어 본격적으로 줄어들더니 급기야 1969년 몽골에서 마지막 야생 프르제발스키 말이 죽었다. 한편 독일 뮌헨과 체코 프라하의 동물원에 프르제발스키 말 수십 마리가 있었는데, 1950년대에는 1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2.28
되돌리는 약물, 등 굽은 생쥐를 똑바로 펼 수 있는 약물이 개발되는 등 노화된 세포나
개체
를 젊은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까지 밝혀져 노화과학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전 세계적으로도 노화 관련 시장은 2022년 500조원 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놓쳐서는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
동아사이언스
l
2011.01.25
살펴보는
개체
수준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우리는 이제 메커니즘 연구에서
개체
수준으로 올라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국가 연구비의 규모가 미국의 수십 분의 1, 일본의 5분의 1에 불과할 뿐 아니라 연구자의 숫자도 선진국에 비해 적다고 지적했다. ●기초연구에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모든 연구는 육종과 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양식장에서는 겉보기에 좋은
개체
를 골라서 어미로 쓰고 새끼를 받다보니 다양성이 축소됐습니다. 결국 특정한 종이 가지고 있던 특성이 사라지며 기존과 다른 환경이 닥치면 집단으로 폐사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다양성을 보존하며 육종을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동물자원센터를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하지만 미래형 동물자원센터는 단순히 동물
개체
수를 유지하는 노력만으로는 만들기 어렵다. 인공장기나 신약 개발에 활용될 미니돼지는 병원균에 절대 감염되지 않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절대 미니돼지를 센터 밖으로 갖고 ... ...
이전
24
25
26
27
2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