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항체를 만들게 한다는 것. 이제는 고전이 된 리처드 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는
개체
가 아니라 유전자를 생명의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켰다. 이에 따르면 우리의 게놈 역시 이기적 유전자들의 집합소일 뿐이고 이 가운데 레트로트랜스포존이야말로 이기적 ... ...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놀랍게도 키메라 초파리의 형태는 완벽했다. 즉 보다 건강한 세포로 이뤄진
개체
를 만들기 위한 솎아내기였던 셈이다. 다만 건강한 세포가 어떻게 주변의 시원찮은 세포의 존재를 감지해 이들을 죽음으로 몰아내는 신호를 내보내는 지는 아직 모르고 있다. ●구성원 적체되면 조직의 암이 돼 ... ...
[Green Focus]‘3세대 바이오매스’ 미세조류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의해 영양염류가 배양기 안으로 계속 유입되고 미세조류는 이것을 먹고 성장․분열해
개체
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별도의 에너지 없이 미세조류를 경제성 있는 농도까지 농축시킬 수 있다. 반투과막은 구멍 크기가 매우 작아 배양된 미세조류나 생산된 지질이 빠져나가지 않는다. 이 교수는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방식으로 유전자를 변화시킨 균주를 배양해서 원하는 산물에 가장 가까운 결과를 낸
개체
만 인위적으로 선택하는 방식으로 실험합니다. 이렇게 선택된 균주를 다시 배양해 선택을 반복하지요. 인공적인 진화를 일으키는 셈입니다.” 연구팀은 짧은 길이의 지방산 유도체를 만들어내는 균주를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치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AIST 제공 정신질환의 실제 '증상'에 해당하는
개체
의 행동은 뇌 지도만으로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뇌 지도는 대강의 예측은 가능하게 하지만 뇌의 네트워크가 워낙 복잡한데다 신경세포간 상호작용도 빈번하다보니 특정한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이 무엇인지 ... ...
진화로부터 탄생한 생명의 시계
IBS
l
2014.07.07
제공 그래서 한때 기대를 모으던 '단일한 노화 유전자'는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개체
의 수명이 미리 프로그래밍된 유전인자가 있으려면 노화현상이 진화적으로 유리한 명백한 이유가 있어 선택되어야 하는데 노화가 나타나는 진화적 메커니즘은 그 반대기 때문이다. 다만 텔로미어 외에도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세포벽을 만드는 쪽으로 진화하면서 마치 벽돌을 쌓듯이 세포들이 모여 하나의
개체
를 이룬 반면, 움직여야 하는 동물은 세포가 말랑말랑하면서도 서로 연결돼 있어야 했기 때문에 세포외기질을 발달시켰다. 쉽게 말해서 우리 몸은 수십 조개의 액체 거품(속이 채워진)이고 거품 막이 세포외기질인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딸세포는 불활성화 계열을 유지한다. 바꿔 말하면 포유류 암컷은 사실상 모두 모자이크
개체
인 셈이다. 즉 어떤 세포는 부계의 X염색체가 활동하고 어떤 세포는 모계의 X염색체가 활동한다. 이를 잘 보여주는 예가 삼색털얼룩고양이로 털색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X염색체에 있는데, 모계와 부계의 ... ...
[만화] 멸종 비상 바나나, 해답은 유전자 다양성!
KISTI
l
2014.05.14
환경 변화가 발생하면, 그 변화에 취약한 유전자군은 죽고 이를 이겨낸 유전자 변이
개체
들은 살아남아 종을 보존할 수 있는 거지. 그런데 뛰어난 품질의 동식물을 대량 생산하려는 인간의 욕심 때문에 점점 유전자군이 단순화되고 바나나 멸종 같은 극단적인 일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 된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
2014.05.06
다른
개체
를 찾게 된다고. 윤리적(실험동물 희생 최소화), 경제적 이유로 동물실험
개체
수를 줄이는 것도 큰 문제다. 똑 같은 조건의 실험동물 가운데 임의로 네 마리씩 뽑은 뒤 수명 실험을 해보면 유의적으로 차이가 날 확률이 30%나 된다. 열 마리씩 실험을 할 경우도 여전히 10%다. 그런데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