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스페셜
"
개체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옥수수 꽃가루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자란다(옥수수 수염). 옥수수는 수꽃이 피었다가 진 다음 암꽃이 피기 때문에, 다른 식물
개체
의 꽃가루가 날아와 암꽃과 함께 수분한다. 그러면 암꽃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꽃의 개수만큼 옥수수알이 탄생한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5일 옥수수 수꽃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미국 ... ...
낙동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 연간 53t…해양유입양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심원준 소장 연구팀은 낙동강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이 연간 53톤으로
개체
수로는 약 1조2000억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육지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의 종착지가 결국 해양이라는 점에서 육지에서의 플라스틱 배출 연구는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심원준 소장은 “해양 ...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사이의 1세대 직계 자손으로 밝혀졌다. 이를 제외한 비교적 순수한 데니소바인 화석은 4
개체
에 불과하다. 그나마 데니소바인 또는 데니소바인 직계자손 화석은 모두 콩알 만한 손가락뼛조각(위 사진)이나 치아,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토끼가 병원균에 저항하기 위해 같은 전략을 선택했다는 것은 환경에 적응해 생존한
개체
가 살아남는 자연선택설의 원리를 모두 채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줄어 일주일이 지나자 완전히 사라졌다. 적어도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같은 종의 다른
개체
로 보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청소놀래기는 거울에 비친 모습에서 턱의 갈색 반점(마크)을 본 뒤 아래 있는 돌에 턱을 문질러 반점(기생충)을 떼어내려고 한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두 번째로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도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 중 기능이 가장 향상된 단백질 변이체를 생산하는
개체
를 골라낸다. 기능이 향상된 효소를 찾아내면 여기에 다시 돌연변이를 가해 돌연변이를 누적시킨다. 이를 반복하다 보면 원하는 방향으로의 진화, 방향적 진화가 이루어진다. 진화가 다윈의 ‘자연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
2018.10.16
놀라웠다. 야생종에 비해 열매 크기가 3배가 됐고 개수는 무려 10배가 됐다. 즉 식물 한
개체
당 열매가 양으로 30배 더 달린 것이다. 게다가 리코펜 함량도 두 배로 늘었다. 이는 시장에 나와 있는 토마토의 리코펜 함량의 5배에 이르는 농도다. 리코펜은 항염증 작용이 있고 심혈관계질환 및 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그럴 가능성이 높았다는 말이다. 즉 골치아픈 성격, 겁먹는 버릇이 장애로 보였지만
개체
에 따라 편차가 컸기 때문에 이를 선별해 극복할 수 있었다. 대형 유인원은 설사 50세대에 걸쳐 선별하더라도(천 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겠지만) 애완동물은 될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힘이 사람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생각했고 두 사람은 2002년 학술지 ‘신경학’에 박쥐 가설을 발표했다. 박쥐
개체
수가 줄어든 것과 리코티-보딕 발병건수가 줄어든 게 비례한다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 뒤 콕스는 이 가정을 입증하기 위해 1950년대 괌에서 채집한 박쥐 견본 세 점에서 피부 시료를 얻어 BMAA를 분석했고 농도가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높다. 그만큼 동물의 생존에 중요하다는 뜻으로 실제 이 유전자가 둘 다 고장 난
개체
는 태아발생과정이나 태어난 직후 죽는다. 그런데 600만여 년 전 침팬지/보노보와 갈라진 뒤 진화한 인류에게서 추가로 두 곳에 변이가 일어났다. 인간형 FOXP2가 언어 유전자로 불린 이유다. -사진 제공 워릭대 2001년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