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체"(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지의 친척인류’ 데니소바인 두개골 파편 첫 발견동아사이언스 l2019.03.04
- 사이의 1세대 직계 자손으로 밝혀졌다. 이를 제외한 비교적 순수한 데니소바인 화석은 4개체에 불과하다. 그나마 데니소바인 또는 데니소바인 직계자손 화석은 모두 콩알 만한 손가락뼛조각(위 사진)이나 치아, 어른 손가락 한 마디 반 크기의 팔 또는 다리뼈 등으로, 데니소바인의 신체 특징은 전혀 ...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동아사이언스 l2019.02.17
- 토끼가 병원균에 저항하기 위해 같은 전략을 선택했다는 것은 환경에 적응해 생존한 개체가 살아남는 자연선택설의 원리를 모두 채택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2019.02.12
- 줄어 일주일이 지나자 완전히 사라졌다. 적어도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을 같은 종의 다른 개체로 보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청소놀래기는 거울에 비친 모습에서 턱의 갈색 반점(마크)을 본 뒤 아래 있는 돌에 턱을 문질러 반점(기생충)을 떼어내려고 한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두 번째로 ... ...
-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동아사이언스 l2019.01.05
- 도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단백질 중 기능이 가장 향상된 단백질 변이체를 생산하는 개체를 골라낸다. 기능이 향상된 효소를 찾아내면 여기에 다시 돌연변이를 가해 돌연변이를 누적시킨다. 이를 반복하다 보면 원하는 방향으로의 진화, 방향적 진화가 이루어진다. 진화가 다윈의 ‘자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토마토는 과일이 될 수 있을까?2018.10.16
- 놀라웠다. 야생종에 비해 열매 크기가 3배가 됐고 개수는 무려 10배가 됐다. 즉 식물 한 개체 당 열매가 양으로 30배 더 달린 것이다. 게다가 리코펜 함량도 두 배로 늘었다. 이는 시장에 나와 있는 토마토의 리코펜 함량의 5배에 이르는 농도다. 리코펜은 항염증 작용이 있고 심혈관계질환 및 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2018.10.02
- 그럴 가능성이 높았다는 말이다. 즉 골치아픈 성격, 겁먹는 버릇이 장애로 보였지만 개체에 따라 편차가 컸기 때문에 이를 선별해 극복할 수 있었다. 대형 유인원은 설사 50세대에 걸쳐 선별하더라도(천 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겠지만) 애완동물은 될 수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힘이 사람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2018.09.18
- 생각했고 두 사람은 2002년 학술지 ‘신경학’에 박쥐 가설을 발표했다. 박쥐 개체수가 줄어든 것과 리코티-보딕 발병건수가 줄어든 게 비례한다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그 뒤 콕스는 이 가정을 입증하기 위해 1950년대 괌에서 채집한 박쥐 견본 세 점에서 피부 시료를 얻어 BMAA를 분석했고 농도가 ...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2018.09.11
- 높다. 그만큼 동물의 생존에 중요하다는 뜻으로 실제 이 유전자가 둘 다 고장 난 개체는 태아발생과정이나 태어난 직후 죽는다. 그런데 600만여 년 전 침팬지/보노보와 갈라진 뒤 진화한 인류에게서 추가로 두 곳에 변이가 일어났다. 인간형 FOXP2가 언어 유전자로 불린 이유다. -사진 제공 워릭대 2001년 ...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네안데르탈인, 빨간색은 데니소바인, 노란색은 현생인류다. 이번에 이종교배가 확인된 개체는 빨강과 파랑이 반씩 섞여 있다. 유전자에 일부 다른 종의 유전자가 포함된 경우는 점이 찍혀 있다. - 사진 제공 ...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8.08.11
- 개체를 식별하고, 성별과 먹이도 식별할 수 있어요. 등지느러미에 ‘1’이라고 쓰여 있는 개체가 바로 제돌이랍니다.” 제돌이는 서울대공원 수족관에 있다가 5년 전 제주 앞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로, 당시 이를 계기로 돌고래 보호와 연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어났다. 이후 이화여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