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대로 방출할 수 있는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어요. 서로 결합된 금속 원자의 원자핵 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자유전자’들이 있기 때문이죠. 이 자유전자가 쉽게 빛을 흡수했다가 방출해서 금속은 빛을 잘 반사할 수 있답니다. 그렇지만 금속도 종류에 따라 반사하는 빛의 파장이 조금씩 ... ...
- [과학뉴스] 체온 따라 열 조절하는 섬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μm는 100만분의 1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다가 온도나 습도가 올라가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10μm 이내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바뀌는 것이다. 10μm 파장의 적외선은 우리 몸이 열을 방출하고 흡수하는 파장대다.실제 실험 결과, 연구팀은 이 섬유가 몸의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알파폴드는 딥러닝에 기반한 강화학습을 통해 인접한 아미노산이나 짧은 서열조각 사이의 진화적 규칙성을 찾는 데 집중한다. 학계에서는 인접한 아미노산의 관계가 진화적으로 연관된 여러 단백질에서 보존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양극(+)을 띠는 아미노산은 음극(-)을 띠는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유성우는 태양 주변을 33년 주기로 도는 ‘템펠-터틀’ 혜성이 지나가면서 남긴 잔해 사이를 지구가 통과하면서 생긴다. 2001년에는 지구가 이 부근을 통과한 지점이 아시아 지역이었기 때문에 시간당 5000개 이상의 엄청난 유성우가 떨어졌다. 이 장관을 보면서 유성우에 반한 오카지마 CEO는 모든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성 초기에는 물론 현재까지 EHT와 ‘블랙홀캠(Black Hole Cam)’이라는 이름이 연구자들 사이에서 혼용되고 있다. 필자는 EHT가 과학적으로는 더 적당한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블랙홀을 ‘직관’하는 것은 아니고 사건의 지평선 바깥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EHT의 ... ...
- [지구사랑탐사대] 매미 연구로 최우수상 탔어요! 매벤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었어요. 그리고 함께 협력하며 탐구대회를 준비하면서 이제는 마음이 척척 통하는 사이가 됐지요. 혹시 친구들도 생태탐사에 관심이 있나요? 또 탐구하고 싶은 내용이 있나요? 그렇다면 주저하지 말고 지사탐 활동에 도전해 보세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침입해 더 많은 자손을 만들어낸답니다. 하지만 노로바이러스가 그 수를 늘리는 사이 우리 몸의 소장 상피세포는 죽어가요. 소장 상피세포가 제 기능을 못 하면 물이나 음식들이 소장에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몸밖으로 나오지요. 그래서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구토나 설사를 하는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대동풀빵여지도를 만든 트위터 계정은 붕어빵과 잉어빵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고, 이 사이를 나타내는 ‘붕-잉 스펙트럼’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붕어빵과 잉어빵은 모양과 맛에서 꽤 다릅니다. 붕어빵은 좀 더 둥글넓적한 생김새에 팥소가 들어가고 그 양도 좀 적지요. 기름기가 적고 ... ...
- [10대의 약] 매사에 공격적이고 예민해요 ‘중2병’일까요, 우울증일까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를 보고 항우울제 복용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우울증 치료제와 자살 사이의 명확한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하던 환자의 자살이 우울증 때문인지, 아니면 우울증 치료제 때문인지 그 원인을 정확히 밝히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주의사항은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0.1128/JB.00580-17 1990년대 초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DNA에서 반복적인 특정 염기서열 사이에 또 다른 염기 21개가 끼어 있는 현상이 발견됐다. 이런 구조는 다른 세균에서도 발견됐다. 이후 2002년에는 이러한 반복 구조에 크리스퍼(CRISPR)라는 이름이 붙게 된다. 2007년에는 세균 ...
이전176177178179180181182183184 다음